사회일반
“의사 수 1% 늘어난다고 한국 의료 망하나”…‘휴진 반대’ 의사의 일침
뉴스종합| 2024-06-17 13:18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휴진에 들어간 17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모습.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 967명 가운데 529명이 집단휴진에 동참한다.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 휴진에 돌입한 데 이어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한 의대 교수가 "의대 증원 문제가 사람의 생명보다 더 중요한 것이냐"고 일침해 눈길을 끌고 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은 이날 언론 기고문을 통해 "10년 후에 활동할 의사 1509명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수십만 명 중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0년 후 1% 의사가 늘어난다고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느냐. 나의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겠느냐"라며 "아무 잘못도 없는, 국가와 의사가 지켜주어야 할 중증 환자들이 생명을 잃거나 위태롭게 됐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10년 후에 증가할 1%의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들이 죽게 내버려 두는 것은 후배, 동료 의사들의 결정이지만 의사로서 국민으로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휴진을 지지하는 일부 의대생 부모들에게는 "자녀가 훌륭한 의사가 되길 바란다면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어떤 충고를 해야 할지 고민해주시길 진심으로 부탁드린다"며 "내 아들딸이 의대생, 전공의라면 빨리 복귀하라고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기고문 전문.

2025년에 1509명 의대 증원 문제가 사람의 생명 보다 더 중요한 것일까. 의사 사직과 휴직을 지지하는 분들에게 물어보고 싶다. 10년 후에 1509명의 의사가 사회에 더 나온다면 그 때 전체 의사 15만명의 1%에 해당한다. 1% 의사 수가 늘어난다고 누가 죽거나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나의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을까. 그 환자는 나의 직계 가족이 아닐지 모르지만 친척의 친척일 수도 있고, 친구의 친구의 친구일 수도 있다.

하루에 젊은 중증 난치성 뇌전증 환자 1-2명씩 사망하고 있다. 그 원인은 30배 높은 돌연사 또는 뇌전증 발작으로 인한 사고사다. 뇌전증 수술을 받으면 사망률이 3분의 1로 줄고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이 50%에서 90%로 높아진다.

그런데 지금은 전공의 사직으로 유발된 마취 인력 부족으로 예정됐던 뇌전증 수술의 40%도 못하고 있다. 전국에서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단 7개뿐(서울 6개, 부산 1개)이다. 모두 전공의 사직으로 비슷한 형편이다. 대부분 뇌전증 수술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됐다.

의사는 환자에게 전공의 사직으로 수술을 할 수 없게 됐다는 말 한마디밖에 하지 못한다. 아프리카 후진국들은 의사가 없거나 의료수준이 낮아서 사람을 살릴 수 없다. 많은 훌륭한 의사들은 아프리카, 라오스 등 의료후진국에 가서 봉사하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은 무엇인가. 아무 잘못도 없는 국가와 의사가 지켜주어야 할 중증 환자들이 생명을 잃거나 위태롭게 됐다. 원인이 누구에게 있던지 간에 이것이 말이 되는가. 10년 후에 증가할 1%의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들이 죽게 내버려 두어도 된다는 말인가. 후배, 동료 의사들의 결정이지만 의사로서 국민으로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의사 휴진을 지지하시는 일부 의대생 부모님들에게도 물어보고 싶다. 10년 후 미래의 환자를 위하여 현재의 환자는 죽어도 된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또한 자녀가 훌륭한 의사가 되길 바라신다면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어떤 충고를 하셔야할지 고민해주시길 진심으로 부탁드린다. 내 아들, 딸이 의대생, 전공의라면 빨리 복귀하라고 설득에 설득을 하겠다.

의사 생활 중에 단 한명의 생명을 구한 경험은 그 의사 일생 동안 큰 힘이 된다. 10년 후에 의사가 1%(1509명) 늘어난다면 누가 죽는지 이것 때문에 한국의료가 어떻게 망하는 것인지 스스로 답하여 보시기 바란다. 의사가 부족해서 환자가 죽는 것이지 의사가 너무 많다고 환자가 죽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

10대, 20대, 30대 젊은 중증 뇌전증 환자들은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마취 인력 부족으로 수술장이 열리지 않아서 수술을 받지 못하고 있다. 수술 취소는 돌연사율이 30~50배 높은 이들에게는 사형선고와 같다. 의사로서 아들, 딸과 같은 내 환자의 생명을 지키지 못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의사는 사회의 등불이 되어야 한다. 각 전문과 의사들은 무슨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그들 본연의 의사로서의 책임과 사명을 지켜야 한다. 10년 후에 활동할 의사 1509명(1%)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수십만명 중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이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

betterj@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