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사
치솟던 아파트 분양가 15개월 만에 하락했다고?…알고보니 내린게 아니었다 [부동산360]
부동산| 2024-06-17 16:01
서울 용산구 및 서초구 아파트 단지 모습.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상승세가 지속되던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1년여 만에 하락했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5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민간아파트의 최근 1년간 ㎡당 평균 분양가(공급면적 기준)는 557만4000원으로 전월 대비 1.92% 하락했다. 민간아파트 분양가가 전월 대비 하락한 건 지난해 2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기타 지방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분양가가 소폭 내렸다.

서울은 1170만6000원으로 전월 대비 0.54% 하락했으며, 수도권은 785만6000원으로 0.43% 내렸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605만2000원으로 5.18% 내렸다. 기타 지방은 전월과 같은 441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로는 분양가가 하락했지만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적게는 11%대에서 많게는 24% 이상 오른 수준이다. 서울은 지난해 동월 대비 24.35% 올랐으며, 수도권은 같은 기간 16.61% 올랐다. 한 해 동안 전국이 13.98% 상승한 가운데 기타 지방도 11.07% 올랐다.

이처럼 분양가가 내린 것은 건설 제반 환경 변화보다 단순히 통계상 표본이 달라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HUG의 분양가 조사가 최근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을 대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표본에서 고가 아파트 단지가 제외되고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낮은 단지가 포함되면 평균치가 내리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통계청의 건설용 중간재 국내공급물가지수 동향을 보면 올해 1월 139.71, 2월 140.24. 3월 142.32, 4월 140.89로 상승세가 여전하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전국의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3712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0% 증가했다. 수도권은 6272가구로 2598가구 늘었으며, 5대 광역시 및 세종시(3463가구), 기타 지방(3977가구)은 각각 지난해 동월보다 711가구, 3190가구 증가했다.

hwshi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