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증에 무게 둔 대통령실, 개각 시일 더 걸릴 듯…저출생수석도 난항
뉴스종합| 2024-06-17 21:13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이르면 이달 중 단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개각이 다소 늦어질 전망이다. 적합한 후보군을 찾는 일이 만만치 않은데다, 야당의 견제 등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속도'보다 적합성에 초점을 두겠다는게 대통령실의 기류다. 윤석열 대통령이 주문한 저출생수석 인선은 4명이 압축된 가운데 '성과형 인물'을 중심으로 막판 인선 작업에 돌입했다.

17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철저한 검증을 두고 적합한 인사를 발탁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후보군을 추리는 단계로 검증 등 후속 진행까지 고려하면 몇 주간의 시일이 필요할 전망이다.

개각 후보군으로는 지난 4·10 총선 이후 사의를 밝힌 한덕수 국무총리를 포함해 정부 출범 초기부터 자리를 지킨 장·차관들이 우선으로 거론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이다.

하지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하는만큼 야당의 허들을 넘기가 쉽지 않다. 예상보다 개각 폭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윤 대통령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대통령실 저출생수석에 대해서도 노선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40대 워킹맘’이 우선 후보군으로 검토됐으나, 현재는 성별을 가리지 않고 살펴보고 있다.

표면적인 자격요건보다는 확실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 인물이 기용돼야한다는 판단이다. 현재 후보군에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총리와 주례회동에서 "의료계 불법 진료 거부에 대한 비상 대책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의대 교수들 절반가량이 무기한 집단 진료거부(집단휴진)에 돌입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평소 진료를 하는 전체 교수 967명 중 54.7%가 휴진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 집단휴진도 예고된 상태다. 이같은 행위를 '불법 진료 거부'로 규정하면서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luck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