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철도 디지털전환 속도”…오송에 철도부품 RAM 오픈 플랫폼 구축
뉴스종합| 2024-06-18 11:00
오송 철도종합시험선에서 K-철도 RAM 통신분야 현장시험을 진행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오송 철도종합시험선에 철도부품 RAM 오픈 플랫폼 테스트 베드 구축을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K-철도 RAM 오픈 플랫폼은 철도 수명주기 RAMS 활동에 필요한 도구, 가이드, 근거 등을 통합 제공하여 철도기업의 국제공인인증 획득 시간을 단축하여 철도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RAMS는 철도시스템의 신뢰성(Reliability), 가용성(Availability),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 안전성(Safety)에 관한 기술 요건으로 신호통신을 포함한 시설물, 전력, 철도차량 등 모든 분야에 RAMS 국제표준 적합성 인증이 국내외 계약 요건에 포함되고 있다.

K-철도 RAM 오픈 플랫폼은 철도 건설 및 운영기관의 RAMS 목표 수립에서부터 철도 용품과 시스템 단위 제조사 개발 정보를 축적하여 신뢰할 수 있는 철도부품의 RAMS 상태를 공시할 예정이다.

또한 전자, 기계 부품류의 RAM 예측을 지원하고, 오송 철도종합시험선에 설치된 시설물의 운영 중 고장 이력을 활용하는 FRACAS모듈 개발을 통해 예측 신뢰도를 입증할 수 있다.

철도 디지털 전환을 위한 K-철도 RAM 서비스 개념도.[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K-철도 RAM 오픈 플랫폼은 오송 철도종합시험선에 설치된 시설물의 고장 이력을 통신망을 통해 수집하여 입증에 활용한다. 이를 위해 철도통신망의 통신 커버리지, 철도통신망 고장진단기술 등으로 통신망의 사전고장 예측 기술을 검증할 계획이다.

철도연은 ‘철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철도부품 신뢰도 예측 기술 개발’을 위해 2022년부터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 기반 연구를 진행했고, K-철도 RAM 오픈 플랫폼을 2025년까지 오송 철도종합시험선에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철도무선통신(LTE-R) 분야 인증책임자인 송용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내통신업체와 적극 협업하여 철도통신기술 분야에서 고장진단 및 예방이라는 유의미한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석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은 “K-철도 RAM 플랫폼 기술은 철도 디지털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실현할 기술”이라며, “K-철도 RAM 오픈 플랫폼 기술을 접목한 고장진단 시스템 구축 및 실증으로 철도의 디지털 전환을 이루어가겠다”고 전했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