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정복 인천시장, “수용 못 해” 발끈 vs 오영훈 제주도지사, “수용” 차분… 대조적 반응
뉴스종합| 2024-06-21 18:05
유정복 인천시장〈좌측〉과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21일 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 선정에 따른 기자회견을 인천시청과 제주도청에서 각각 진행했다.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가 경북 경주시로 결정된데 대해 고배를 마신 경쟁도시였던 인천시와 제주도의 반응이 대조적이다.

인천은 “수용 못 해, 재논의해야 한다”라고 강하게 부인한 반면 제주도는 “아쉽지만, 수용한다”라고 밝혀 받아들이는 입장 차이가 크다.

유독 인천만 유감을 표시하면서 재논의해야 한다는 촉구의 목소리를 냈지만, 이는 한껏 기대했던 인천시민을 의식해 실망감을 달래려고 하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지가 경북 경주시로 결정된 것과 관련해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유정복 시장은 무엇보다도 인천시는 이번 선정이 평가기준에 부합하지 않다는 입장을 강하게 어필했다.

유 시장은 “인천은 APEC 정상회의 개최지 경쟁 도시였던 경북 경주시와 제주도를 압도하는 자격 요건을 갖춰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도 밀려났다”면서 개최지에 선정되지 못해 강한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유 시장은 개최지 선정위원회가 공모지침서와 다른 결정을 했다는 부분을 탓했다.

유 시장은 “경주시가 공모기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주요 회의장 배치안을 당초 유치신청서와 전혀 다르게 변경하고 개최 지역 범위를 신청 지역인 경북을 벗어나 타 시·도까지 임의로 확대 수정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명백한 공모기준 위반이며 이에 대한 면밀하고 객관적인 검토 없이 표결이 진행된 점에서 공정성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또 경주시에는 21개 회원국 정상들이 묵어야 할 5성급 호텔과 프레지덴셜 스위트룸이 2개소 2객실이고 만찬장으로 제안한 월정교는 협소한 목조건물이어서 최대 1000여 명을 수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적합하다는 것이 여러 전문가의 의견이라고도 설명했다.

유 시장은 “위원회까지 구성해 개최도시를 선정하는 것은 해당 도시가 한 치의 오차 없이 APEC 정상회의 같은 대규모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를 수 있는가를 냉정하게 평가하자는 취지”라며 “공모기준의 모든 항목에서 압도적으로 탁월한 인천을 두고 전통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릴 수 있다는 점을 높게 사 개최지 경주시를 결정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고 공정하지도 않다”고 반발했다.

마치 수능 만점자를 탈락시킨 것과 같은 참 나쁜 결정이라고 어필하면서 조만간 외교부 장관을 만나 신중하고도 현명한 결정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유 시장은 밝혔다.

반면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매우 아쉬운 결과이지만 제주의 새로운 역량과 가치를 각인시킬 수 있었다”고 말해 선정위의 결정을 수용했다.

그러면서 “135만 제주인의 열정을 한마음으로 응집했던 긍지와 자부심은 제주가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자양분이 될 것”이라며 “제주는 아쉬움을 뒤로하고 APEC 정상회의의 성공 개최와 대한민국의 빛나는 성장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시각에서는 인천은 역대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이재명 당 대표(인천 계양구을)를 비롯해 박찬대 원내대표(인천 연수구갑), 김교흥 21대 국회 행안위원장(인천 서구갑)과 국민의힘에서 황우여 비대위원장, 윤상현 5선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을),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원희룡 당 대표 후보(21대 인천 연수구갑) 등 막강한 정치인들이 포진하고 있는데도 2025 APEC 정상회의 인천 유치를 실패했다.

이는 여·야를 떠나 지역 정치인들이 유 시장과 함께 APEC 정상회의 인천 유치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하는데 여·야 국회의원들이 똘똘 뭉친 대구·경북과는 달리 한 몸이 아닌 ‘따로 국밥’이 실패의 원인이라고 시민들은 지적했다.

gilbert@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