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레져
올해 바캉스는 ‘짠내투어’..물가는 ‘확’, 소득은 ‘정체’[함영훈의 멋·맛·쉼]
라이프| 2024-06-22 10:07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정부는 최근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과 내수가 살아난다고 주장했지만, 국민은 그렇게 느끼지 않는 것 같다.

이미 확 오른 물가가 이제 안정된다 한들 그간 소득이 늘지 않았으니, 불경기라고 느끼는 것이다. 정부의 ‘안정’은 오른 물가 하락이 아니라, 많이 오른 상태의 유지이다. 경제학자들은 물가인상+소득 정체를 두고 “가난해졌다”고 표현한다.

작금의 경제 상황을 확인할 최대 이벤트는 여름 바캉스이다. 국민들은 물가 대비 역대 최악 수준의 바캉스 예산을 책정하고 있다.

‘나는 자연인’, ‘저비용’, 집 나와서 잘 먹고 잘 살기 ‘노동’ 여행, 캠핑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가 최근 전국 20~69세 남녀 3000을 대상으로 올 여름 휴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휴가를 가겠다는 사람은 절반을 조금 넘는 56.2%였다. 작년 조사 보다는 높아졌다.

그러나 휴가 비용으로는 1인당 ‘20만~40만원’이 2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만~60만원이 22.0%였다.

100만원 이상을 계획하는 응답자가 20.3%, 60만~80만원 14.0%, 80만~100만원 12.5%, 20만원 미만이 9.1%였다.

올해 여름 바캉스 1인당 비용 계획 [피앰아이 제공]

작년에 같은 조사를 벌였을때 1인당 여름 휴가 예상 비용은 40만~60만원이 25%로 1위였다. 올해는 작년에 비해 낮은 여름 바캉스 예산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여름 휴가 피크 시즌은 8월 첫째주가 될 전망이다. 8월 첫 주에 여름 휴가를 떠날 계획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22.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7월 4주 15.4%, 8월 2주 9.7%, 7월 3주 9.3%, 7월 2주 8.2%, 8월 3주 7.7% 순으로 나타났다. 피크 시즌을 피해 9월 이후로 여름 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는 비율은 4.7%로 나타났다.

여름 휴가 여행 기간으로는 ‘2박 3일’이 33.9%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어 3박 4일 25.2%, 1박 2일 20.3%, 4박 5일 9.8%, 6박 7일 이상 5.3%, 5박 6일 3.8%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당일 여행은 1.7%로 나타났다.

7말8초 극성수기 다음엔 8월2주차에 떠나는 비율이 높았고, 8월20일 이후엔 급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발상으로 8월하순에 떠나는 것도 호젓한 바캉스를 즐기는 방법이겠다.

여름 휴가 여행 계획이 없거나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일정 조율의 어려움’(33.4%), 재정적 제약(29.8%), 계획 및 준비의 어려움(16.8%), 건강 문제 등 개인적 사유(12.1%) 등 순이었다. 반려동물 돌봄 문제는 5.4%였다.

휴가 여행을 떠나는 대신 집 혹은 집근처에서 하는 활동 중엔 TV를 시청하거나 OTT를 몰아서 본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운동과 독서, 공부 등 자기 개발, 맛집 탐방, 쇼핑 순으로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