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의료계 창구 단일화에도 의정 대화 안개 속…올특위 “2025년 정원 협의” vs “협의 대상 아니야”
뉴스종합| 2024-06-22 21:34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첫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의협에 도착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의료계가 논의 창구 단일화를 위해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가진 가운데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 정원 협의를 두고 또다시 정부와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

22일 의대 교수, 지역의사회 등이 참여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의 범의료계 위원회인 올특위는 첫 회의를 연 뒤 “‘형식, 의제에 구애 없이 대화가 가능하다’는 정부의 입장을 환영한다.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밝힌다”고 말했다. 정부와의 대화 의제에 내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올특위는 지난 20일 결성됐다. 대한의사협회(의협)이 의료계 논의 창구 단일화를 위해 만들었지만 이날 회의에 전공의와 의대생은 참여하지 않았다.

올특위는 문자메시지로 회으결과를 발표하면서 27일로 예정된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지나 18일 임현택 의협 회장이 집회에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뒤 논란이 이어졌지만, 이날 별도로 논의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27일 무기한 휴진’을 정부와의 협상 카드로 사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예측이 나온다.

정부는 이날 의료계에 재차 대화를 촉구하면서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보건복지부는 “정부는 형식, 의제에 구애없이 언제든지 논의할 수 있다. 의협에서도 조건 없이 대화의 장으로 나와 의료현안에 대한 논의에 참여해 주기 바란다”면서 “2025년 의대 정원은 그 절차가 이미 마무리됐으므로 협의의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어제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에서 무기한 휴진 중단을 결정하고, 의협에서도 대화의 뜻을 밝혔다”며 “휴진을 예고한 다른 병원들도 집단휴진 결정을 철회해 주기 바란다”고도 했다.

park.jiyeo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