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다른 기업 적자일 때 우린 영업익 6배↑” 중국 리스크 거뜬히 넘긴 비결은? [그 회사 어때?]
뉴스종합| 2024-06-23 07:08
〈그 회사 어때?〉

세상에는 기업이 참 많습니다. 다들 무엇을,하는 회사일까요. 쪼개지고 합쳐지고 간판을 새로 다는 회사도 계속 생겨납니다.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도, 수년을 하던 사업을 접기도 합니다. 다이내믹한 기업의 산업 이야기를 현장 취재,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엄재훈 DL케미칼 대전연구소 연구소장이 스페셜티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DL케미칼 제공]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기존 범용 제품으로는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 생존하기 위해서는 신규 시장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글로벌 시장 침체 여파로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DL케미칼은 경쟁사 대비 높은 실적을 달성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일부 업체들과 달리 DL케미칼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1178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6배 이상 상승했다. 범용이 아닌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사업구조를 구축하면서 뛰어난 실적을 달성한 것이다. 현재 DL케미칼 매출(별도 기준)에서 스페셜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를 넘는다.

엄재훈 DL케미칼 대전연구소 연구소장(상무)은 23일 헤럴드경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최근 상승세에 대해 “경쟁사 대비 빠른 의사 결정을 통한 선택과 집중으로 최적의 제품을 연구개발 및 생산했다”고 설명했다. 1987년 설립된 대전연구소는 DL케미칼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DL케미칼은 일찌감치 경쟁사와 차별화된 스페셜티 제품을 잇달아 선보였다. 2010년에는 국내 최초로 산업용 윤활유로 주로 쓰이는 폴리부텐(PB) 신제품인 고반응성 PB 상업화에 성공했다. 고반응성 PB 생산 기술은 전 세계에서 DL케미칼을 비롯해 오직 3개 업체만이 보유하고 있다. 2019년에는 국내 최초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제품인 디파인을 개발했다. 디파인을 개발하기 위해 소요된 기간만 3년이다. 디파인은 DL케미칼만의 독자적인 촉매 기술을 적용해 뛰어난 물성을 자랑한다.

주력 스페셜티 제품은 단연 PB이다. DL케미칼은 글로벌 PB 시장에서 20%가 넘는 점유율로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PB 생산 기술력도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았다. DL케미칼은 2015년 PB 생산 기술을 미국 윤활유 제조업체인 루브리졸에 제공했다. 국내 석유화학 기업 최초로 미국 시장에 기술을 수출한 것이다.

DL케미칼 스페셜티 제품인 폴리부텐이 담겨진 드럼통이 나열돼 있다. [DL케미칼 제공]

엄 상무는 “석유화학 산업은 원재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유가 변동에 매우 민감한 특징을 갖고 있다”며 “석유화학 제품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원천기술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들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설비 투자를 진행하면서 기술력의 중요도는 더욱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DL케미칼은 최근 친환경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탈탄소 트렌드 영향으로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한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DL케미칼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기상공정(기체 상태에서 중합)을 적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상업화에 성공했다. POE는 태양광 패널 필름에 쓰이는 석유화학 제품이다. 기상공정을 적용한 결과 제품 양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30% 낮췄다.

엄 상무는 “석유화학 업계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페셜티 제품 전환은 물론 제품 재료를 재사용하고, 폐기물을 줄이는 것은 물론 없앨 수 있는 등 순환경제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고객과 시장이 요구하는 친환경 포장 소재 제품을 연구하고 있다”며 “DL케미칼 자회사인 바이오케미칼 기업 크레이튼과 협업해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접착제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 주력 제품의 경쟁력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그는 “PB는 현재 윤활유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고부가 영역 등 사용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DL케미칼은 연구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해 스페셜티 제품을 확대, 시장 주도권을 차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DL케미칼 연구개발비는 175억원으로 전년(160억원) 대비 9.4% 증가했다. 스페셜티 제품을 늘리기 위해 기술 개발이 꾸준히 이뤄져야 하는 만큼 연구개발비는 올해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말에는 신소재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내벤처 노탁을 설립했다. 그는 “노탁의 제품 개선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고, 이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외부 기술협의체를 통해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하고, 자회사와 연계해 해외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등 연구개발 역량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엄 상무는 “스페셜티 제품을 끊임 없이 개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지닌 자회사들의 역량을 활용해 시너지를 최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DL케미칼 대전연구소 전경. [DL케미칼 제공]
yeongdai@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