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북러 신조약, 중대한 우려사항…3국 협력 강화”
뉴스종합| 2024-06-24 11:15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11월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24일 북러 정상회담 결과 체결된 신조약에 대해 “중대한 우려사항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구래 외교정보전략본부장과 정박 미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24일 유선협의 후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3국 북핵수석대표는 “한미일은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포함한 러북 간 군사 협력 심화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이러한 무기 이전은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시키고,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며,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밝혔다.

이어 “6월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방문 계기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신조약) 체결을 통해 강조된 러북 파트너십의 발전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준수하며,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의 잔인한 침략에 맞서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것을 지원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중대한 우려사항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한미일은 지역 및 세계 안보에 대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상황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외교 및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할 의사를 재확인한다”며 “미국의 대한민국과 일본 방위에 대한 공약은 철통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일은 또한 대화의 길이 열려 있음을 재확인하며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협상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외교부의 조직개편으로 기존 북핵수석대표를 맡았던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역할은 외교정보전략본부장이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