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벤처
대동, 벼·콩 노지 정밀농업 실증
뉴스종합| 2024-06-24 13:35
대동이 드론으로 농작물의 생육상태를 촬영·분석해 최적의 시비를 처방하고 있다. 대동 제공]

대동(대표 원유현)이 전국 4곳에서 데이터 기반의 노지 정밀농업 실증작업을 한다.

경기 이천, 전북 김제, 전남 장성, 경북 상주에서 총 160개 필지 59만5000㎡(18만평) 규모의 농경지가 대상이다. 이 지역을 맵핑한 뒤 토양을 채취해 토질을 분석, 필요한 만큼만의 비료를 주는 변량시비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24일 대동에 따르면, 지난 1월 이런 내용의 업무협약을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와 했다.

들녘경영체회 소속 벼와 논콩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이런 정밀농업 실증작업을 벌인다. 농작물의 파종, 생육, 수확에 맞춰 정밀농업 솔루션을 실증·고도화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생육기에는 드론으로 농작물의 생육상태를 촬영·분석해 최적의 시비 및 방제를 처방한다. 수확기에는 생육상태에 따른 최적 수확시기를 예상해 최상급의 농작물 수확량을 늘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맵핑된 농경지별로 자율작업 콤바인으로 농작물을 수확해 정밀농업 처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관련 기술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대동 측은 “현재 대상지역 농가의 필지별 토양을 분석한 데이터로 토양지도를 생성하고 변량시비 처방 및 작업을 마무리했다.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사용법 교육도 진행했다”며 “이달부터 8월까지 드론모니터링을 진행해 농작물 생육상태에 따른 맞춤시비 및 방제 처방을 하고, 9~10월 최적 수확 시기 예측을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이번 실증사업으로 수확량 증대와 농자재와 인건비 등 생산비 절감으로 정밀농업에 대한 농업인의 관심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광욱 대동 플랫폼사업본부장은 “글로벌 농업환경에 맞춰 미래 농업기술을 개발해 ‘농업의 AI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장수용 들녘경영중앙회장은 “대동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농업의 스마트화를 앞당기고 농업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유재훈 기자

freiheit@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