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취재본부
광주시, 광천동∼임동 일대 도시철도·BRT·트램 “뭐가 좋을까?”
부동산| 2024-06-24 13:40
광주광역시는 28일 ㈜휴먼스홀딩스제1차피에프브이(이하 사업자)와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대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을 마무리했다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시가 복합쇼핑몰 건립, 백화점 확장 이전 등 대규모 도심 개발이 이뤄지는 광천동과 임동 일대 교통 대책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폭증할 교통량과 혼잡 대안으로 도시철도 신설이 유력해 보였으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트램 추진 가능성이 다시 부상하는 상황이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천동·임동 일대는 교통·유통·여가 시설이 몰려있어 이미 혼잡이 빚어지는 데다가 대규모 개발사업까지 예정돼 교통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광천동에서는 광주신세계가 금호고속으로부터 유스퀘어문화관, 종합버스터미널 부지를 사들여 기존 백화점보다 3배 이상 큰 '광주 신세계 아트 앤 컬처파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인근 광천재개발사업도 5600 가구 규모로 진행 중이다.

인접한 임동에서는 프로야구가 열리는 날마다 KIA 챔피언스 필드 주변 차량 정체가 반복되고 '더현대 광주'와 4000여 가구 공동주택 등이 들어설 옛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 개발도 추진된다.

광주시는 상무역, 시청, 기아 오토랜드, 터미널, 전방·일신방직 부지, KIA 챔피언스 필드 인근, 광주역 등을 잇는 7.8㎞ 구간에 도시철도를 신설하는 방안을 놓고 정부와 협의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기후 위기 시대 도시 정체성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BRT, 트램의 타당성, 효율성도 분석하고 있다.

도시철도는 7.8㎞에 64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트램 사업비는 14㎞에 4000억원으로 비용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BRT는 최근 도시 교통 정책 관련 시민 포럼에서 전문가들을 상대로 진행한 현장 설문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가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도시를 지향하고, 광천동 일대를 그 상징적 공간으로 삼으면서 도시철도가 아닌 BRT나 트램의 추진 가능성이 커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편의성에서 효과가 검증된 도시철도와 달리 BRT, 트램은 도로를 점유하면서도 혼잡 개선 효과를 얼마나 낼지 실증 사례가 상대적으로 적다.

강기정 시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광주가 할 수 있는 교통 대응 방안과 함께 광천사거리를 중심으로 한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상징물(교통 대안)이 뭐가 돼야 할지 검토하고 있다"며 "지하철, 트램, BRT를 놓고 마지막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