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황금알 시내버스, 차파트너스 뒤이을 투자자는 어디 [투자360]
뉴스종합| 2024-06-24 17:31
[출처 123RF]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사모펀드(PEF) 운용사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이하 차파트너스)이 투자한 준공영제 버스 운수사 경영권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투자자 관심이 예상되는 가운데 우선매수권을 보유한 AJ네트웍스의 판단에도 관심이 모일 전망이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차파트너스는 서울·인천·대전 시내버스 운수사 10곳 경영권지분 매각을 추진한다. 앞서 차파트너스가 시내버스에 투자한 '차파트너스차파트너스퍼블릭모빌리티 1호·2호·3호 펀드'와 인수금융의 만기가 올해 연말부터 도래함에 따른 조치다.

차파트너스는 일찌감치 시내버스 운수업에 주목해 전국 각지에서 버스운영회사를 매입해 온 운용사다. 2019년 서울시 운수사 한국비알티(BRT)와 인천 운수사 명진교통 인수를 시작으로, 현재 서울·인천·대전·제주도 등지에 위치한 버스회사 약 20여곳의 경영권을 확보했다.

매각 작업에 속도가 붙지는 않았지만 투자업계에서는 여러 원매자가 관심을 보일 것으로 내다본다.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 등에 힘입어 알짜자산으로 꼽혀왔다는 이유에서다.

버스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운수사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준공영제란 운수사가 운송수입금으로 운행비용을 충당하지 못할 경우 해당 손실분을 지자체가 보전해주는 제도를 뜻한다. 버스 1대당 정비비·차량 보험료·인건비 등에 대한 평균치를 매겨 표준운송원가를 책정, 이를 지자체가 운행 대수·거리 등에 따라 개별 버스회사에 지급한다. 버스회사가 승객이 적은 노선을 폐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행됐다. 대중교통 공공성 강화 및 재정지원 효율화 등을 목표로 2004년 서울에서 처음 도입됐다. 지자체별 현황에는 차이가 있지만 경기도 또한 순차 시행하는 등 일반화되는 추세다.

해당 시장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사업자가 경쟁하는 구조다. 다만 주로 영세한 업체가 가업 형태로 버스 운수사업을 이어와 시스템 미비 및 운영 비효율 등의 고질적 문제가 자리했다. 이에 차파트너스는 추가적인 업사이드가 존재한다고 보고 5년 전 당시 투자 결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기준 서울에서는 7000여대의 버스를 65개 사업체가 나눠서 운영하고 있다. 이 중에서 서울시내 6곳 운수사를 차파트너스가 순차 매입해왔다. 마찬가지로 인천·대전 등에서도 운수사 일부를 차파트너스가 보유하고 있다.

기존 인수구조 및 시장현황을 감안해 원매자 경쟁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 각 출자자가 해당 투자건과 관련해 보유하고 있는 권한도 관심사다.

차파트너스 1호·2호·3호 펀드의 출자자(LP)는 캐피탈사를 포함해 여러 기관으로 구성돼있다. 이중에서 출자 비중에 따라 AJ네트웍스가 우선매수권을 보유하고 있다. 우선매수권이란 자산의 소유자가 자산을 제3자에게 매도하기 전에 같은 조건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투자업계에서는 차파트너스가 원매자들로부터 입찰을 받아본 이후에야 매각과 관련해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으로 내다본다. 현재는 지난달 개최된 사원총회에서 LP들의 의견이 모여진 상태로, 일부 잠재적 원매자들의 인수희망 의사를 파악해보는 단계다. 추후 매도자 마케팅이 본격화된 이후 입찰 형태 등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aret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