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한은 “우리나라 상용직 비중 60% 육박”
뉴스종합| 2024-06-25 12:07

서울 시내 한 대학교에 붙은 취업 지원 프로그램 관련 게시물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상용직 비중이 전체 취업자의 6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5일 '2020년 고용표 작성 결과'를 통해 상용직 임금근로자 비중은 2015년 51.9%에서 2020년 58.2%로 확대됐고, 여성 근로자 비중은 39.0%로 변동이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영호 한은 투입산출팀장은 "시간제 근로자를 중심으로 상용직이 많이 증가하면서 전체 상용직 비중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취업자 수(전업환산기준)는 2020년 2444만명으로 2015년(2483만명)보다 1.6% 감소했다.

부문별 취업자를 보면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이 2015년 71.0%에서 2020년 71.1%로 0.1%포인트 늘어난 반면, 공산품 부문 비중은 16.3%에서 15.1%로 줄었다.

취업계수는 2015년 6.5명에서 2020년 5.4명으로 1.1명 줄었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계수가 10.2명에서 7.7명으로 크게 내렸다.

취업계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로, 경제 성장에 따라 취업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취업유발계수도 5년 사이 11.7명에서 9.7명으로 2.0명 하락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해당 상품을 포함한 모든 상품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한다.

품목별로는 섬유 및 가죽제품(10.6→7.9명), 목재 및 종이, 인쇄(10.6→8.9명), 도소매 및 상품 중개 서비스(19.6→13.5명), 사업지원 서비스(19.4→13.8명) 등의 취업유발계수가 크게 하락했다.

최종수요 항목별 취업유발계수를 보면 2020년 기준 소비가 11.7명으로 가장 높았고, 투자가 9.1명, 수출이 6.6명 순이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소비(14.6→11.7명)에 의한 취업유발 효과가 가장 크게 줄었다.

th5@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