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AI, KF-21 20대 양산계약 체결…2026년말 공군에 납품
뉴스종합| 2024-06-25 13:57
KF-21 시제 6호기. [KAI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방위사업청이 25일 KF-21 최초 양산계약을 체결했다.

한국형전투기 독자개발을 천명한 이후 2015년 체계개발을 시작한 뒤 9년만에 양산이 추진되는 것이다.

이번 계약은 KF-21 총 20대와 기술교범과 교육 등 후속군수지원을 포함해 1조9600억원 규모다.

한국형전투기 체계개발사업은 공군의 장기운영 전투기 F-4, F-5를 대체하고 미래 전장운용개념에 부합되는 4.5세대 전투기를 개발하기 위한 사업으로 2015년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총 개발기간은 10년 6개월로 2026년 체계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며 2026년 말부터 양산기 납품을 시작해 공군에 전력화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재 80%의 개발이 진행된 KF-21은 최초시험평가를 통해 항공기의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을 입증하고 이번 최초 양산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7월 시제1호기 초도비행을 시작으로 시험비행에 본격 착수했고 올해 3월 공중급유 비행에 성공해 원거리 작전능력도 검증했다.

공대공 미티어 유도발사 성공과 항공기 고도, 속도, 기동성 등 임무영역을 확장하며 전투기의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

최초 시험평가를 통해 지난해 5월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했고 올해 3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최초 양산 승인을 받았다.

KF-21 시제5호기가 지난 3월 19일 남해 상공에서 공중급유에 성공했다.[방사청 제공]

강구영 KAI 사장은 “KF-21 체계개발사업은 많은 도전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공군, 방사청, 개발업체 등 관련 기관들의 탄탄한 협력이 있었기에 양산까지 안정적으로 올 수 있었다”며 항공우주산업 불모지 대한민국에서 일궈낸 역사적 성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KF-21은 진정한 자주국방의 상징물로 대한민국 항공전력 강화와 첨단 항공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KAI는 양산계약을 앞두고 올해 초부터 협력업체 부품공급망 점검과 생산설비 구축, 치공구 확보 등 치밀하게 양산을 준비했다.

KF-21 개발에는 약 600여개 국내 협력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국산화율 65%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KAI는 “T-50과 수리온의 경우 납품이 진행되면서 국산화율이 점차 향상됐듯이 KF-21 양산으로 국내 항공산업 생태계가 강화되면서 국산화율이 증대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일자리 창출과 산업파급 효과를 기반으로 항공산업이 국가 주력 미래산업으로 잘잡고 경제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체계종합업체인 KAI와 맺은 양산계약 체결과 함께 핵심부품을 납품하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이날 방사청과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시스템이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KF-21)에 탑재될 AESA 레이다 최초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한국형 전투기(KF-21)에 장착된 한화시스템의 AESA 레이다. [연합]

한화시스템은 1100여억원 규모의 KF-21 AESA 레이더 20대 양산계약을 체결했다.

전투기의 눈으로 불리는 AESA 레이더는 공중과 지상·해상 표적에 대한 탐지 및 추적 등 다양한 임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최첨단 레이더로 현대 공중전에서 전투기의 생존과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핵심 장비로 꼽힌다.

기존 전투기에 장착했던 기계식 레이더보다 더 넓은 영역을 탐지하고 공중과 지상의 다중 표적과 동시 교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난 2015년 미국이 전투기 핵심 기술이전을 거부한 이후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한화시스템과 개발에 착수한 지 4년만인 2020년 시제1호기를 성공적으로 출고하며 국내기술로 AESA레이더를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이후 국내외에서 약 200소티 이상 비행시험을 통해 항공기용 AESA 레이더 성능을 입증했고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

박혁 한화시스템 감시정찰부문 사업대표는 “한화시스템은 항공기용 AESA 레이더를 개발·공급하고 수출까지 성사시킨 국내 유일한 기업”이라며 “미들급 전투기부터 경전투기급, 그보다 더 작은 무인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항공기용 AESA 레이더 전력화 실적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F-21에 탑재되는 F414 엔진 모형.[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방사청과 5562억원 규모의 KF-21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6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KF-21에 탑재되는 F414엔진 40여대와 예비모듈 등을 납품하고 엔진정비 교범과 현장기술지원 등 후속 군수지원도 수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9년 공군 F-4 전투기를 시작으로 KF-5, KF-16, F-15K, T-50 등 우리 군 전투기 엔진을 해외 면허생산 방식으로 공급해왔다.

회사 관계자는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엔진 전문기업이라는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완벽한 품질이 엔진을 차질없이 공급하고 자국국방과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독자 항공엔진 개발에도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legend1998@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