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사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전세 소방수 떴다…하반기 서울 입주물량 쏟아진다 [부동산360]
부동산| 2024-06-25 16:49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16만가구를 넘어서며 상반기보다 약 9% 많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서울은 1만가구가 넘는 대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입주의 영향으로 상반기 대비 물량이 26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16만4633가구로 15만1191가구 입주한 상반기보다 약 9% 정도 많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7만9986가구, 지방이 8만 4647가구 입주하며 각각 10%, 8%씩 증가한다.

서울의 경우 입주물량은 1만8439가구로 5015가구 입주했던 상반기보다 268%가량 늘 예정이다. 올림픽파크포레온(1만2032가구)과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가구) 등 굵직한 단지들이 입주에 나서기 때문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동구(1만3603가구), 송파구(1314가구) 강북구(1045가구), 성동구(825가구) 등 순으로 많다. 강동, 송파 일대 동남권 지역을 중심으로 물량이 집중돼 새 아파트 공급에 따른 전세시장 안정의 기여도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서울 입주물량 증가폭이 가장 큰 가운데 지방은 대전, 전북, 세종, 울산 순으로 입주물량이 늘 예정이다. 특히 대전의 경우 도안신도시 등 대규모 단지 입주가 진행됐던 2011년 하반기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 입주한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인 천동3구역에서 대규모 단지가 입주에 나서며 일대 새 아파트 공급이 증가한다. 대전은 지역 아파트 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 그리고 2025년 상반기까지 새 아파트 공급이 이어지며 물량 여파 등에 따른 가격약세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역별 올해 하반기 입주물량을 살펴보면, 절대적인 입주물량으로는 경기지역이 가장 많다. 하반기 경기지역 입주물량은 총 4만9421가구로 상반기(5만4081가구)보다는 9%가량 감소한다. 지역별로는 화성(7153가구), 용인시 처인구(6280가구), 광명(4395가구), 평택(3342가구), 파주(3055가구) 등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인천은 6개구 모든 자치구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한다. 서구 3436가구, 미추홀구 2558가구, 부평구 1909가구, 연수구 1869가구, 강화군 1324가구, 중구 1030가구 순이다. 특히 강화군에서 서희스타힐스1,2단지가 입주해 역대 가장 많은 새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 역시 상당량의 새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경북 1만972가구, 대구 1만711가구, 충남 1만702가구, 부산 9031가구, 경남 8099가구, 대전 7122가구 순으로 많다.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적체된 상황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지속되고 있어 가격약세가 우려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방 미분양 물량이 전국 미분양 물량의 80%를 차지하고 있고 두 달째 증가하고 있어 미분양 물량 부담이 큰 상황”이라면서도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거래량이 늘어 매수심리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전국 입주전망지수 또한 두 달 연속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시그널도 존재해 지방 아파트 시장 분위기가 개선될 수 있을 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wshi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