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고금리에 은행들 이자순익 14년만 ‘최대’ 기록…기업대출 부실 ‘부메랑’ 될 수[금융안정보고서]
뉴스종합| 2024-06-26 11:01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 창구 앞.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고금리가 지속되며 국내 은행이 ‘이자장사’로 벌어들인 이자순익 규모가 2010년 이후 최대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자순익을 벌어들인 대부분의 경로가 기업대출이라는 점이다. 이에 금리 상승기에 확대됐던 기업대출이 향후 대손비용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은행의 이자순이익(수익에서 비용을 뺀 값)은 34조2000억원을 기록하며 2010년 이후 금리상승기 중 최대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24조1000억원) 대비해서 41% 증가한 값이며, 2010년(20조8000억원)과 비교했을 때는 64% 증가한 수치다.

고금리로 이자를 벌어들이다보니 비이자이익과의 격차도 더 벌어졌다. 2021년 이후 일반은행의 총이익 내 이자이익 비중은 93%를 차지하며 2010년 이후 장기평균(87.8%)을 훌쩍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은행이 이자이익을 벌어들인 수익 경로가 가계대출보다는 기업대출의 비중이 더 높다는 점이다. 보통 금리상승기에는 가계대출보다 기업대출의 잔액이 더욱 가파르게 증가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번 금리상승기에는 그 양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 금리가 오를 때에는 경기요인 등으로 기업자금 수요가 늘면서 기업대출이 연평균 28조5000억원 증가한 반면, 가계대출은 연평균 26조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반대로 금리하락기에는 자산시장의 영향을 크게 받는 가계대출이 연 평균 32조7000억원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연평균 17조1000억원)보다 빠르게 늘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에는 기업들의 영업자금 수요가 증가했고 고금리로 채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은행대출 수요가 늘었기 때문에 이같은 특징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합]

지금 당장은 은행들이 이자장사로 큰 이익을 벌었지만, 금리상승기 확대됐던 기업대출이 도리어 부실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과거 금리국면을 살펴본 결과 금리상승기 기업대출 증가폭이 클수록 상승기 이후 수익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금리 하락 외에도 대출부실 등으로 인한 대손비용이 증가하며 은행의 수익성이 점차 악화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2021년 3분기 금리상승시점의 무수익여신 규모를 100이라고 봤을 때, 8분기 이후부터는 그 추이가 106, 9분기 106, 10분기 119.9로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나타냈다. 무수익여신이란 3개월 이상 연체된 여신과 이자수입이 발생하지 않는 여신을 의미한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기업대출 부실이 시차를 두고 확대될 수 있으며 향후 대손비용 상승 등 은행의 수익성 저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예대금리차 하락도 향후 은행의 수익성을 감소시킬 요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들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더 빠르게 하락하며 예대금리차와 순이자마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향후 예대금리차의 수익기여도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한편 한은은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는 등 미래 부실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은 관계자는 “대출부실 등으로 인한 대손비용 증가는 리스크 관리 강화로 인한 은행의 대출공급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대손충당금 적립 등 미래 부실가능성을 선제적으로 반영해 기간별 수익구조를 평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s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