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구시민 지난해 하루 1.8명 꼴 자살…대구시와 구·군 특단대책 마련 요구
뉴스종합| 2024-06-27 06:11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대구 지역 자살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아 지자체 차원의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우리복지시민연합에 따르면 대구지역 내 자살 사망자는 지난 2017년부터 6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은 27.0명으로 이는 전국 평균(25.2명)보다 높은 수치다.

특별·광역시 가운데서는 부산(27.3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는 충남(33.2), 강원(33.1), 충북(29.0), 부산(27.3) 다음으로 다섯 번째로 높다.

대구 자살자 수는 2021년 628명, 2022년 638명, 지난해 647명(잠정치)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에는 166명으로 집계됐다.

자살률도 2020년 26.1명에서 2021년 26.3명, 2022년 27.0명으로 3년 동안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대구 구·군 자살률 현황을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남구는 4년 내내 1위며 다음으로 서구와 동구가 높다.

반면 중구는 32.5명에서 18.3명으로 무려 14.2명을 낮춰 달성군과 함께 가장 낮은 자살률을 나타냈다. 수성구는 2021년 대비 무려 6.1명이 늘어 2022년 가장 많이 증가했다.

따라서 우리복지시민연합은 일반적인 사망보다 극심한 심리·사회적 고통을 경험하고 부정적 파급효과를 낳는 자살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 적극적인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의 주 사망 원인이 자살(10∼30대 1위, 40∼50대 2위)인 점을 근거로,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제는 단체장이 직접 나서서 자살 예방을 위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대구시가 교통사고 줄이기를 위해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캠페인을 벌여 성과를 낸 것처럼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몇 배 이상으로 예산과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등 총체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대구시의 자살 예방 예산이 부족하다면서 '신천 프러포즈 존 설치'등 토건 예산을 자살 예방 예산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 관계자는 "대구 시민 생명이 위급한데 프러포즈 존을 만든다며 논쟁할 시간조차 없다"며 "대구시와 구·군은 시민의 생명을 살리는 데 전력을 다하라"라고 밝혔다.

kbj7653@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