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서울의대 철회 후 세브란스 무기한 휴진…의정 대화까지 ‘산 넘어 산’
뉴스종합| 2024-06-27 10:31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 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서울대병원이 무기한 휴진 방침을 철회했지만 27일부터 세브란스병원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면서 갈등 해소 양상을 보이던 의정 간 대화 성사 분위기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그럼에도 정부는 다른 의료기관에서도 휴진 유예를 결정하고 있어 최근 해빙 무드를 이어가는 한편, 전공의 추가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2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전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앞서 결의했던 대로 이날부터 일반 환자의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및 시술 등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휴진하더라도 입원 병동과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적인 분야의 업무는 유지한다.

휴진 종료 시점은 정부가 현 의료대란과 의대 교육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가시적 조치를 할 때로 잡았다.

내달 4일부터 휴진을 예고한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의 결정이 공개된 직후 “휴진 계획은 변함없다”는 입장을 밝혔고, 대한의사협회(의협) 역시 오는 29일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2차 회의를 열고 향후 휴진 등 투쟁 방식을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데 이어 서울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하고, 이날부터 예고됐던 의협의 무기한 휴진도 불발되면서 의정 간 대화 시점이 당겨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지만 다시 제동이 걸린 셈이다.

의료계 비상 상황과 관련해 전날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청문회에도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현재 전공의단체는 의정 간 대화협의체 가동의 열쇠를 쥐고 있다.

이상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언제든, 어떤 형식이든 적극적으로 대화하겠다는 정부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정부는 의료계와 함께하는 의료개혁을 희망한다”고 대화 의지를 재차 피력했다.

한편 정부는 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추가 대책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 청문회에서 “6월 말까지 (전공의 복귀 수준 등) 변화되는 상황을 보고, 추가로 필요한 대책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기존 방침과는 다른 방침을 내놓을 수도 있고, 기존 방침을 보완할 수도 있다”고 여러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 장관은 현재 추진 중인 의료개혁과 관련해 “수술할 의사가 없거나 응급실을 찾지 못하는 환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는 의료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는 유연하게, 충실하게, 원칙을 지키며 의료 전반에 대한 개혁과제를 실행해 나가는 한편 조속한 의료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thle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