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뷰티, 무섭네”…美서 화장품 강국 프랑스 제쳤다 [언박싱]
뉴스종합| 2024-06-27 14:23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한국 화장품이 미국 내 수입 화장품 점유율 1위(월 기준)에 올랐다. 글로벌 뷰티 시장 1위인 미국 현지에서 ‘전통 강자’ 프랑스를 누르는 이변이 계속되고 있다. 세계 최대 이커머스인 아마존을 포함해 ‘K-뷰티’를 향한 러브콜도 쏟아지고 있다.

27일 미국무역위원회(USITC)의 데이터웹(Dataweb)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4월 누적 미국 내 수입화장품 점유율(관세가격, Customs Value 기준)에서 1위(20.1%, 4억7710만 달러)를 차지했다. 2위는 같은 기간 4억5943만달러로, 점유율 19.3%를 기록한 프랑스였다. 3위는 3억2723만달러를 미국에 수출한 캐나다였다.

한국 화장품이 세계 화장품 수출 1위인 프랑스를 미국에서 누른 건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아직 연간 기준으로는 프랑스가 앞서지만, 한국 화장품의 성장세가 가팔라 역전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올해 USITC의 월별 수입액 기준 한국은 1월, 4월 각각 월 수입액 기준 1위를 차지했다. 2~3월은 프랑스가 1위를 지켰다.

지난해 미국의 화장품 수입액 점유율 순위(USITC, 데이터웹, 관세가격 기준)는 1위 프랑스(17.3%), 2위 한국(16.5%), 3위 캐나다(15.5%)였다. 한국 화장품은 이제 미국 ‘3대 화장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K-뷰티는 지난 2022년 일본 시장에서 30년 가까이 1위를 수성한 프랑스를 제치며 ‘역전의 아이콘’으로 등극했다.

이 같은 성장세에 미국 대표 이커머스인 아마존은 K-뷰티 셀러(판매자)를 확대하기 위한 대대적인 지원에 돌입했다. 아마존이 올해 진행한 봄맞이 빅세일 행사 기간, K-뷰티 매출은 전년 대비 200% 성장했다.

신화숙 아마존코리아 대표는 전날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 계획인 ‘프로젝트 K-뷰티 고 빅’에서 “연매출 10만달러(약1억3000만원)가 넘는 판매자들이 지난해 기준 2배로 급증했다”며 “수요가 급증한 K-뷰티의 세계화를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마존코리아는 27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아마존 K뷰티 컨퍼런스’를 열고 K-뷰티 셀러를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한다.

국내 뷰티업체도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6월 중순 기준 에스트라 브랜드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7% 증가했다. 일리윤 브랜드도 올해 5월 기준, 지난해 동월 대비 매출이 570% 신장하면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아모레퍼시픽은 매출 성장을 이끈 라네즈, 헤라 등 담당 임원을 부사장으로 승진시키며 힘을 실어줬다.

과거 중국에 집중했던 화장품 수출 전략도 미국으로 선회하는 모양새다. 미국으로 화장품을 수출하는 것도 뷰티업계의 ‘뉴노멀(새롭게 떠오른 표준)’이 됐다. 화장품 수출 주역인 인디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관심과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김일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글로벌성장이사는 “올해 아마존 12개 뷰티 상위 6개 품목이 한국 상품이 차지했을 정도로 K-뷰티가 급성장했다”면서 “우수제품이 해외 소비자에게 인정받고 국경을 넘는 크로스보더트레이드(CBT) 시장에서 입지 공고히 하는 상황에서 수출 물류 할인 등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21일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에서 진행된 2024코리아뷰티페스티벌 스킨케어 클래스 행사에 참여한 외국인들이 체험하고 있다. 김희량 기자
hop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