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6년내 일자리 90% AI 대체가능, 노동 유연화 필수
뉴스종합| 2024-07-16 11:06

현재 국내 일자리 10개 중 9개가 불과 6년 뒤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일자리의 38.8%에서 70% 이상의 업무를 AI와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연하게 여겨져온 AI와 로봇이 사람의 일을 대체하는 날이 예상보다 훨씬 빨리 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발전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급변이 예상되는데도 우리는 여전히 낡은 고용 제도를 붙잡고 꿈쩍도 안하니 답답하다.

보고서는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2030년에는 거의 모든 일자리 대부분의 업무를 AI가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98.9%의 일자리에서 AI가 70% 이상의 업무를 대체하고, 현재 일자리의 89.8%는 업무의 90% 이상을 AI로 대체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방장, 패스트푸드 종업원, 냉난방 설비 조작원, 음료 조리사 등은 100% 자동화가 가능하다. 의회의원·고위공무원·공공단체 임원(64%), 항공기 조종사(78%), 작가(80%) 정도만 직무 자동화 비율이 그나마 낮다. 이날 KDI와 한국노동연구원이 연 토론회에서도 비슷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 일자리 중 12%에 해당하는 약 341만 개가 AI 기술로 대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고소득·고학력 근로자가 더 취약하다는데, AI시대에 모두 일자리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노동시장 구조가 변하고 있지만 제도는 한참 뒤처져 있다. 인구증가와 산업화 시대의 고용 틀 그대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경직된 근로시간과 임금체계는 고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특히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호봉제는 기업 부담을 높여 중장년층의 명예퇴직과 고용불안을 증가시킨다는 지적이 많다. 정년 연장과 재고용에도 걸림돌이다.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 시작으로 일하는 노인이 급증하고 있지만 대부분 경력을 살리지 못하고 임시·단순직을 전전하는 게 현실이다. 국가적 낭비다. 청년 고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려면 정년 연장과 함께 임금체계 개편이 필수다.

AI기술 확산에 대한 대비도 서둘러야 한다. KDI가 기업의 AI 도입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청년층에서 고용 하락 효과가 크고 임금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다. 기업으로선 당장 신규채용을 줄이고 AI·로봇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청년들이 필요한 역량을 갖출 기회를 넓히는 건 기본이다. 관건은 새로운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다. 기업의 발목을 잡는 오래된 규제들을 제거해야 혁신이 꿈틀대고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