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나노급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빨라지나
뉴스종합| 2024-07-22 11:14
세계 최초로 3D 프린팅 나노구조 발광 패턴을 규명한 표재연(맨 오른쪽) 박사 연구팀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표재연 박사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3D프린팅 된 나노 구조의 발광 패턴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해상도가 높다는 것은 한 화면 안에 화소의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소의 밀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영상이나 사진이 더 정밀하고 섬세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화소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발광 소자를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를 넘어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수준까지 더 작게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나노 포토닉 3D프린팅 기술로 수년간 디스플레이 분야를 연구해 온 연구팀은 그동안 축적해 온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나노 구조에서 관찰되는 고지향성(Highly directional) 발광 패턴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일반적으로 기존 화학적·물리적 증착법으로는 발광 소재를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로 균일하게 제작하기가 어렵다. 반면 전기연의 3D프린팅 기술은 인쇄 노즐의 구경으로 구조물의 직경을 한정할 수 있어 발광 소재를 원하는 위치에 넓은 범위에 걸쳐 원하는 크기(직경 1만분의 1~1000만분의 1m)로 신뢰성 있게 제작할 수 있다.

연구팀은 3D프린팅 기술로 ㎚에서 ㎛ 수준까지 정교하게 구현한 시편을 통해 발광 양상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심층 분석과 교차 검증을 위해 전자기파 시뮬레이션도 함께 수행했다.

그 결과 발광 소자의 크기가 직경 300㎚ 수준으로 아주 미세하게 작아지면 공간 제한으로 인해 빛의 내부 반사가 없어져 일직선의 한 방향으로만 전파되고, 그로 인해 빛이 방출될 때 높은 지향성(방향성)의 발광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규명했다. 기본적으로 빛은 구조물 내부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고, 이들의 중첩으로 인해 넓은 발광 패턴을 보이지만 나노선 구조에서는 일직선인 단일 경로만 존재하여 고지향성 발광 패턴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디스플레이, 광 저장매체, 암호화 장비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기존 넓은 발광 패턴을 갖는 구조물들은 가까이 모이면 서로 중첩되거나 뭉개지는 ‘광신호 간섭(Optical Crosstalk)이 발생한다. 반면 고지향성 발광 패턴을 갖는 나노선은 높은 밀도로 모여도 화소 간 구분이 명확히 가능하고, 정보 해석에 왜곡이 없어지기 때문에 고성능 장치 구현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전기연 연구팀이 실험적으로 제안했다.

표재연 박사는 “나노 영역에서의 광물리 연구는 시편 제작이 어렵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데, 우리는 간단하고 유연한 3D프린팅이라는 플랫폼으로 나노 구조의 발광 양상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국가전략기술인 첨단 디스플레이 또는 양자 분야 기술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ACS 나노’ 최신호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