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응급의료 현장 곳곳 비명, 특단의 대책 강구해야
뉴스종합| 2024-09-06 11:18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면서 응급 의료 현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공사장에서 추락한 70대가 응급실 6곳서 이송 거부를 당해 결국 숨지는 일이 벌어졌고, 대학생이 100m 앞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를 거절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다. 버스에 치인 70대는 수술 병원을 못찾고 4시간을 넘겨 120여 ㎞ 떨어진 곳에서 치료를 받고 겨우 목숨을 건졌다. 촌각을 다투는 환자들이 거리에서 생명을 잃는 일이 벌어지면서 남의 일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이들이 많다.

의료현장은 한계 상황을 넘어선지 오래다. 현재 응급실을 부분 중단하거나 중단 예정인 병원은 4일 기준 전국 409개 응급실 중 5곳이지만 25개 병원에선 당직 의사 혼자 환자를 봐야 하는 상태다. 정부가 인력 부족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는 병원에 군의관을 파견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혼선이 일고 있다. 이대목동병원은 파견 군의관 3명이 응급실 근무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복귀조치했는데 이런 식이라면 얼마나 도움이 될 지 미지수다. 병원 현장 상황과 수요를 파악해 군의관을 적재 적소에 배치해야 한다.

응급실 불이 켜져 있다고 안심할 일도 아니다. 응급 처치를 한다 해도 수술해야 할 전문의가 없어 환자를 받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배후 의료진을 확보하지 못하면 ‘응급실 뺑뺑이’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번 의료대란 이전에도 의료진 부족이 거론돼온 흉부외과 등 필수과 의료진이 더 줄면서 문제가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 이탈 사태 기간 동안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뜬 응급실 진료 제한 메시지는 7만241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9004건)보다 22.7% 늘었다. 응급의료 상황에 맞는 배후 의료진 확보가 시급하다는 얘기다. 급한대로 응급의료에서 비중이 큰 외과의 경우 응급만 전담하는 팀을 꾸려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의료계 조언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추석 명절 응급진료 현장이 마비되는 일은 막아야 한다. 추석 연휴에는 평상시보다 2배 더 응급 환자가 많다.주로 경증 환자가 늘어난다지만 안이하게 보지 말고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모두 마음을 졸이는 상황에 힘을 보태지는 못할 망정 정부와 여당이 갈등하는 모습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대통령에게 모든 게 괜찮을 거라고 보고한 당사자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는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이나 “전화를 해서 (중증도를) 알아볼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 자체가 사실은 경증”이라는 박민수 복지부 차관의 발언 모두 경솔하다. 국민 우려를 해소하는데 집중해야 할 때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