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사
시골에서 도시로 도시로…스마트시티 총력전 인도 K건설 미래 돌파구로 뜬다 [헬로인디아]
부동산| 2024-09-09 13:02
인도 비하르 교량현장 전경 [대우건설]

[헤럴드경제=서영상 기자] 인도의 도시와 사회기반시설 인프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 이 나라의 생산가능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 각 지역에서 도시로 몰려들자 신도시를 대규모로 짓기 시작하고 있다. 광대한 영토 속 각 지역 간 교통량이 가파르게 증가하며 광역철도와 기존 도로 교통망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추가 철도·공항 설립도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거대 인구, 도시화, 경제 성장률 등을 기반으로 ‘포스트 차이나’로 인도가 급부상하는 이유다. 꽉 막힌 국내건설 시장의 돌파구로 인프라 확충에 한창인 인도를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계 1위 인구 대국…스마트시티만 100개=인도는 세계 최대 인구대국 자리를 중국으로 부터 탈환했다. 2023년 4월 유엔(UN)은 인도 인구가 14억 3000만 명에 달해 중국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라고 밝혔다.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사회의 구조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더 나은 기회와 높은 생활 수준을 위해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동이 잦아지고 있다. 인도의 도시인구는 10년 전인 2011년 조사한 공식 통계로 3억7000만 명에 달한다. 이는 전체 인구대비 31% 수준이다. 현재는 36% 수준으로 2050년까지 50%(8억7000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빠르게 인구 도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 범죄, 환경 등 각종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인도 정부는 스마트시티 카드를 꺼냈다.

2015년 인도 정부는 스마트시티 미션(SCM)을 개시해 전국에 100개의 대상 도시를 선정했다. 스마트시티 미션은 각 도시의 일부지역을 개발해 인프라 관리, 사회적 불평등 해결, 지속가능한 환경 등 개발 효과가 인근 지역까지 확대하도록 하는 계획이다. 도시 개발과 과학기술을 통합한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해 도시 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인프라로 개선해 나가겠다는 목표다.

웨스트벵골주를 제외한 인도 전국의 지방정부가 참여해 각 주당 최소 하나의 도시를 스마트시티로 지정하도록 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아 각각의 도시는 2017~2022년 각종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2022년 이후 성과를 도출하기로 했다.

각각의 스마트시티 지정도시는 개발공사 역할을 하는 특수목적기구(Special Purpose Vehicle·SPV)를 설립해 실제 사업을 수행하기로 했다. 주요 스마트시티 개발 분야는 ▷교통 ▷에너지·환경 ▷수자원·위생 ▷주거 ▷경제 등이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총 7742개의 프로젝트 중 6019개가 완료됐다.

스마트시티는 현재 진행형이기도 하다. 인도 정부는 이달 초 국내 제조업의 진흥을 위해 10개 주에 걸쳐 12개의 산업 스마트시티 개발을 승인했으며, 이를 위해 약 2조 8602억 루피(약 45조 6201억 원) 규모의 투자금이 동원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의 시행 지역으로, 쿠르피아(Khurpia), 라즈푸라 파티알라(Rajpura Patiala), 디기(Dighi)를 포함한 주요 12개 도시가 선정됐다.

▶세계 3대 건설산업 강국= 도시의 급격한 팽창 속에 인도 건설산업은 제조업과 더불어 국가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3연임에 성공한 모디 정부가 물류 비용을 낮추고 국내 교통망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 철도, 항만, 항공 운송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는 만큼 성장성이 더욱 밝다는 평가다.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인도건설 시장은 7750억불로 중국(2조7300만불), 미국(1조9800만불)에 이어 세계 3위 시장이다. 인도 건설산업은 인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으로 인도 GDP의 9%를 차지하며 약 7100만 명의 고용 인원으로 농업 다음으로 많은 산업이다.

경제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인프라 사업 추진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던 건설시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됐다가 2022년 14.5% 급성장하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2023년에는 예상치를 뛰어넘는 5.7%의 실질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도 전년보다 높은 14.4%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나이트 프랭크(Knight Frank)’의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부문 일자리 수는 2030년에는 무려 1억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도로 및 교량, 철도, 전력 등 인프라는 지속, 안정적인 인도경제의 성장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인도 정부는 인프라 확충을 산업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의 투자를 촉진시켜 경제발전과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유효한 정책 수단으로 삼고 있다.

인도 뭄바이 해상교량 전경. [대우건설]

▶뭄바이에 이어 갠지스 교량...K-건설 손으로= 뭄바이는 인도의 대표 경제도시이자 영화산업으로 유명한 도시다. 면적은 서울특별시보다 작지만 이주자들의 유입이 지속 증가하여 인구수는 더 많다. 이로 인해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정부는 뭄바이의 도시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나비 뭄바이 를 건설했다.

이들 지역은 주택 수요와 인프라 수요가 꾸준히 급증하고 있지만, 반도 지형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시 간 연결성이 부족해 도시의 확장과 지역 개발에 많은 제약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뭄바이 구도시와 나비 뭄바이 신도시 사이를 잇는 ‘뭄바이 해상교량(MTHL)’프로젝트가 탄생했고, 이 사업에 국내 건설회사가 참여해 K-건설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대우건설은 2018년 인도 최대 그룹 중 하나인 타타그룹과 합작해 뭄바이 해상교량 공사에 참여해 약 69개월의 공사를 2024년 1월 무재해로 완공했다. 대우건설은 전체 21.8km, 최대 난코스인 왕복 6차로 해상교량 중 7.8km 본선 및 1개소 인터체인지 시공과 설계·조달·공정관리를 맡았다.

특히 이곳에서 대우건설은 탄소 흡수력이 탁월한 ‘지구의 허파’ 맹그로브 숲 훼손과 해상 오염을 최소화 하는데 힘을 쏟았다. 이를 위해 일정한 길이의 교량 상부구조(세그먼트)를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으로 운반한 뒤, 크레인으로 세그먼트를 연결해 시공하는 방식을 택했다. 대우건설은 교량 인근 맹그로브 숲 근처 작업을 최대한 줄여 숲 훼손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도시 발전과 생태계 보존을 조화롭게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우건설은 뭄바이 해상교량 공사를 수주하기 전인 2016년 13억 인도인의 성지인 인도 갠지스강을 가로지르는 총 4억8000만달러(대우건설 지분 50%, 2억4000만달러) 규모의 ‘비하르 교량 공사도 수주했다. 당시 대우건설은 중국 업체 2곳과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였다. 대우건설은 인도 1위 건설사인 L&T와 조인트벤처를 구성해 L&T의 인도 내 교량 공사 경험 및 축적된 인력, 장비, 외주 등 현지 리소스 활용을 극대화했다.

대우건설은 1995년 인도 자동차공장 건설공사를 시작으로 1996년 코르바 석탄화력 발전소 및 자동차공장용 석탄화력발전소, 1997년 전자공장, 2000년 다울리 강가 수력발전소 등 약 23억달러 규모의 건설 공사를 수행한 이후, 비하르 교량 수주로 16년만에 인도 건설시장에 재진출하게 되었다.

▶여전히 성장성 크다…스마트시티에 국내 우수 기술로 대응해야= 이같은 성과에도 K-건설이 그동안 인도에서 수주한 실적은 인도 건설산업규모에 비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회사들이 인도에서 수주한 공사비는 1485만불로 몽골(1991만불) 라오스(1558만불)에 이어 14번째 순위다.

앞서 2022년에는 2억 3315만불로 10위, 지난해에는 4억8688만불로 6위를 하는 등 전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는 국내 건설사들의 진출이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는 평가다. 그마저도 우리 제조기업의 현지 생산공장과 연구시설 건설, 소규모 엔지니어링 사업을 중심으로 수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노다지’가 될 수 있는 인도시장 공략을 위해 여러가지를 주문한다. 우선 국내에서 진출할 수 있는 유망품목들을 선별하는 절차부터 주문했다.

우천시 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처리 시설이라던지 폐기물시설, 공공주택 건설, 보안시스템에 국내 기술력이 우위를 보이는 만큼 성공 노하우를 통한 프로젝트 수주에 심혈을 기울이자는 조언이다. 특히 한국 스마트시티는 신도시 개발부터 기존 도시 재생까지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현지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유리할 것이란 분석이다.

코트라 관계자는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사업을 통한 인도의 스마트시티 개발과 연계한 수주 방안을 모색하고 컨소시엄 형태로 기업들이 뭉쳐서 타깃 프로젝트별로 공략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했다.

s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