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K-방산 진짜로 잘 나간다? 수출만 해선 알짜 다 놓친다
뉴스종합| 2024-09-13 11:24

국내 육해공 방산기업이 유지·보수·정비(MRO) 산업 육성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글로벌 방위산업이 지정학적 불안 속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방산시장의 또 다른 축인 사후 관리 분야에서도 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차원에서다.

지난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군 발전·K-방산 활성화 지원 민관 K-MRO 산업 경쟁력 강화 포럼’ 현장에 모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오션,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현대로템, 대한항공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 임원진은 MRO 산업 육성이 우리 군의 전력운용 혁신은 물론 글로벌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키(key)가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장성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는 이날 “MRO 사업을 통한 장비 가동률 유지는 군의 전투준비 태세와 직결되고 이는 수출 경쟁력 확대로 이어진다”며 “K-방산 유지보수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무기체계 개발·수출을 넘어 ‘방산업체의 노후연금’으로 여겨지는 후속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통상 무기체계는 가격이 비싸고 한 번 도입하면 수십 년간 사용하기 때문에 획득 비용보다 운영·유지 비용이 더 많이 든다. 이에 운영·유지 분야에서는 향후 군비 경쟁이 줄더라도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MRO 산업이 K-방산의 미래 캐시카우(현금창출원)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글로벌 MRO 사업은 전체 무기체계 시장에서 약 7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 MRO 산업 기반은 아직 미비하다. 항공 분야를 예로 들면 운영·유지를 군에서 수행하고 있어 민간의 사업화 기회가 적고 이 때문에 무기체계 개발 때 운용·유지 단계까지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무기체계가 첨단화되면서 정비 난도와 전문성은 증가하고 있는데 첨단장비에 대한 국내 정비 및 수리부속 공급 역량은 부족해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상재 KAI 전무는 “항공기의 획득비와 유지비 비율은 2대 8 정도인데 현재 국산기, 직도입기는 모두 운영·유지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며 “MRO 관련 핵심기술 확보 없이는 개발과 수출을 우리가 해도 돈은 해외 OEM(주문자위탁생산) 업체가 번다”고 꼬집었다. 무기체계의 개발·양산·수출과 운영·유지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는 얘기다.

이 전무는 그러면서 “미국·영국·싱가포르 등 선진국은 해외 MRO 전문업체 육성을 통해 수출산업화를 달성했다”며 “민간과 정부, 군이 협력해 MRO 수출사업화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김대식 한화오션 상무는 “민·군이 MRO 발전을 위해 힘을 합치면 군은 정비능력 확보, 가동률 향상, 예산 최적화를 통해 함정 운용여건을 개선할 수 있고 조선소는 통합 MRO 수행력을 키워 글로벌 MRO 업체로 도약할 수 있다”며 민군이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주한 현대로템 상무는 “국내 MRO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면 해외 사업으로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힘을 보탰다. 임진규 대한항공 상무도 “신규 무기체계 획득 시 MRO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OEM 협력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김은희 기자

ehkim@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