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면역항암제 효능↑” KAIST·화학硏, ‘난치성 뇌종양’ 치료법 제시
뉴스종합| 2024-11-06 08:12
이번 연구를 수행한 이흥규(왼쪽) 교수와 구근본 박사.[KA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제거하는 T세포의 항암 면역작용을 강화하는 가장 주목받는 항암치료 요법이다. 하지만 난치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경우 면역관문억제제를 활용한 수차례 임상시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암종에서 T세포가 만성적 항원에 노출돼 기능이 상실되거나 약화된 원인을 분석해 T세포 활성 제어 인자를 발굴하고 치료 효능 증진 원리를 규명했다.

KAIST는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와 함께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억제성 Fc 감마수용체(FcγRIIB)의 결손을 통한 면역관문억제제의 세포독성 T세포 불응성을 회복, 항암 작용 증대를 유도함으로 생존율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최근 세포독성 T세포에서 발견된 억제 수용체(FcγRIIB)가 종양 침윤 세포독성 T세포의 특성과 면역관문억제제(항 PD-1)의 치료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억제 수용체가 결손되었을때 종양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의 증가를 유도했다. 이 같은 T세포 아형은 탈진화를 억제하고 줄기세포 특성을 강화했고, 이를 통한 항 PD-1 치료의 회복된 T세포 항암 면역반응을 이끌었다. 또한 연구팀은 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가 FcγRIIB 결손 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종양 조직 내 T세포 침투를 이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억제성 Fc 감마 수용체(FcγRIIB) 결손에 따른 항 PD-1 치료제 효과가 교모세포종 뇌종양 면역반응 향상에 대한 개괄적 연구개요.[KAIST 제공]

이번 연구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불응성을 보이는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했다. 특히 교모세포종과 같은 항 PD-1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종양에 FcγRIIB 억제와 항 PD-1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흥규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제를 이용한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할 가능성과 다른 난치성 종양으로의 범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향후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세포치료 활용과 접근 가능성도 확인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면역항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암면역치료’에 10월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