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예천군 박물관,대명의리 상징 '유엽배' 관련 '초암실기' 국역본 발간
뉴스| 2024-06-17 10:59
이미지중앙

초암실기' 국역본 (예천군 제공)


[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경북 예천군 예천박물관이 '초암실기(草菴實記)'를 국역한 총서를 발간했다.

17일 예천박물관에 따르면 '초암실기'는 예천 출신 초암(草菴) 정윤우(丁允祐, 1539~1605) 선생의 생전 글과 그의 충절, 명나라로부터 받은 유엽배(柳葉杯)에 대한 후대 인물들의 시문 등을 수록한 책이다.

정윤우 선생은 1570년 문과에 급제 후 홍문관 수찬, 여주목사 등을 지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명나라 사신으로 가서 신종 황제로부터 버들모양 술잔인 '유엽배'를 하사받았다.

영남 선비들은 명나라가 망한 후 유엽배를 안동 복두·난삼, 영주 '대학연의'와 함께 대명의리(對明義理)3대 상징물로 여겨 이에 대한 많은 시문을 남겼다.

이미지중앙

명나라 신종 황제가 정윤우 선생에게 하사한 버들모양 술잔 '유엽배' (예천군 제공)


문중에서는 초암공 제사 때만 유엽배를 사용하는 등 귀중하게 보관하다가
2020년 예천박물관에 기탁했다.

김학동 예천군수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초암 정윤우 선생과 유엽배에 대해 많이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웠다""이번 국역본 발간을 계기로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 지역문화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예천박물관은 사시찬요’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등을 활용한 학술연구, 예천 전통문화인 활쏘기의 역사와 전승에 관한 연구, ‘국파선생문집국역서 발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예천지역 사료와 인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사의 가치 제고와 지역문화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ks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