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안함(뉴스속보)
정부 맞춤형 보육 사업에도 학부모 여전히 어린이집 ‘종일반’ 원해
뉴스종합| 2015-08-24 07:50
[헤럴드경제=원승일 기자] 정부가 ‘맞춤형 보육’의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부모들은 여전히 맞춤형 보육보다 전일제 보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상보육 실시에 따라 불필요한 어린이집 이용 수요를 줄이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부터 제주 서귀포시, 경기 가평군, 경북 김천시 등 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맞춤형 보육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24일 복지부에 따르면 이들 세 개 지역에서 하루 12시간 보육(종일반)을 제공하는 ‘종일형’과 6~8시간의 보육(반일반)만 제공하는 ‘맞춤형’ 중 신청을 받은 결과 8000여명의 지원자 중 90% 이상 종일형을 신청했다. 종일형 신청자에게는 취업이나 다자녀, 한부모, 임신 등으로 전일제 보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입증할 증명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등 신청 절차가 까다로워졌지만 맞춤형 보육에 대한 수요는 적게 나타난 것이다.

복지부는 맞춤형을 선택하는 경우 서귀포는 시간제 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김천과 가평에는 월 5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혜택을 제공했지만 대부분의 학부모는 종일형을 택했다.

이처럼 종일형에 대한 선호가 큰 것은 부모들에게 여전히 12시간의 종일제 보육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복지부는 학부모들이 제출한 증명서를 재검토해 종일형이 필요 없는 사람이 종일형을 선택했는 지 여부를 확인 중이다. 또 9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 뒤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w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