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최근 1개월 채권 ETF 중 개인 순매수 1위
뉴스종합| 2023-10-30 09:53

[헤럴드경제=윤호 기자]한국투자신탁운용은 최근 한 달간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 중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산 상품이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라고 30일 밝혔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는 지난 3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처음으로 선보인 현물형 미국 장기 국채 ETF다. 최근 한 달간 해당 ETF로 유입된 개인 순매수액은 410억원(27일 기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채권형 ETF 120개 중 1위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채권형 ETF에 유입된 개인 순매수 평균금액은 8억원에 불과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가 기록한 최근 한 달 개인 순매수액은 전체 ETF 중에서도 높다(5위). 현재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ETF는 787개로, 대표지수(코스피·코스닥, 1~4위) 추종 상품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순위인 셈이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로의 자금 유입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미국 월가에서 나온 채권 금리 고점론과 중국 비구이위안 달러 채권 파산은 안정성 높은 미국 국채 상품에 대한 선호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의 비교지수는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로, 미국 발행 30년 국채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 채권을 편입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금리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높은 편이다. 실제로 지난 2007~2008년과 2019~2020년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 당시 미국 국채 수익률을 살펴보면, 30년물 국채는 10년물 국채 대비 각각 17.6%와 15.3% 초과 성과를 기록한 바 있다.

월배당 상품이라는 점도 투자 매력으로 꼽힌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첫 번째로 선보인 월배당형 ETF로, 지난 4월부터 분배금을 매달 지급하고 있다. 매월 지급되는 분배금의 재원은 현물형 ETF 특성상 투자원금이 아닌 편입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기반으로 한다.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ETF마케팅본부장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는 신용위험이 없는 미국 국채 30년물을 현물로 담고 있어 퇴직연금에서 100% 한도로 투자가 가능하다”며 “연간 총보수 또한 0.05% 수준으로 낮아 장기투자 시 이점이 큰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youknow@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