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은행 등 금융권이 대규모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신속 처리하는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해야 금융 선진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출신인 함유근 건국대학교 교수는 지난 19일 금융연수원이 개최한 ‘금융권의 수익성 제고를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 세미나에서 “은행 업무의 중심이 점차 스마트폰으로 이동하고 상태에서 은행들의 경영전략의 중심은 여전히 점포(지점)에 있는 상황”이라며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핵심 데이터를 잘 모아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금융의 스마트화가 실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함 교수는 또 “국내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라며 “개인 정보보호 우려, 업무별로 단절된 데이터, 단기성과 위주의 경영 등이 빅데이터 활용이 부진한 이유”라고 지적했다.
해외 은행들은 우리나라보다 빅데이터 활용에 한발 앞선 상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자영업자 대상 지원 상품인 캐시프로모바일 개발시,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해 고객 성향을 파악 후 반영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글로벌 고객 데이터를 스페인 대형 의류업체와 공유, 추가 생산실설과 판매장 위치 계획에 활용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방대한 양의 고객 신용카드 이용 정보와 정부가 제공하는 금융소비자 재무 정보를 통합, 새로운 소비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를 만들어 은행 고객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함 교수는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은행들이 스마트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마트 금융서비스란 고객이 원하고 좋아하거나 심지어 모르고 있던 내용까지 선제적으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다.
현재 국내 금융권에선 은행들보단 비은행 업계에서 빅데이터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보험업의 경우 빅데이터를 보험사기 분석이나 신규고객 발굴에 활용하고 있다. 신용카드사들은 카드 이용자들의 소비행태를 분석, 신상품 개발과 시장분석에 활용하거나 이상 결제패턴을 검출해 부정사용을 사전 예측하기도 한다. 증권분야에선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해 주가 예측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성욱 딜로이트 상무도 “해외 금융산업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영역도 확대하는 추세”라며 “보험사는 가입자의 재무ㆍ건강상태, 취업 여부등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보험사기와 손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gil@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