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공대통' 이준식 '문송' 해결할까?
뉴스종합| 2015-12-22 10:17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평소 온화하고 합리적인 스타일을 지닌 기계공학자로 평가되지만 ‘산학협력’의 필요성 만큼은 목소리를 높여오던 ‘공대통’ 이준식 전 서울대 연구부총장이 대한민국 교육 수장 자리에 올랐다.

교육계에선 이 내정자가 지난해부터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창조경제분과 분과의장을 맡으며 대학 연구 및 교육의 현장성을 강조해온 만큼 정부가 추진중인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정책도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이 내정자는 그동안 수차례 학문의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역설해왔다.

지난해 4월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서울대 공대 교수 채용에 산업체 경력을 반영하고 학생들의 현장실습, 학점이수제 인턴을 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또 같은해 5월에 열린 제1회 두뇌한국(BK)21 포럼에서는 “공과대학 교수들이 발표하는 연구결과가 기업현장에 활용할 수 있어야 의미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이 현장성을 강조하는 이 내정자의 지론은 최근 정부가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PRIME(산업 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과 맞아 떨어지는 측면이 많다.

PRIME사업은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12월 발표한 35개 전공별 인력수급전망을 바탕으로 대형사업의 경우 1개 대학에 300억원, 8개 대학에 150억원을 3년간, 소형사업은 10개 대학에 평균 50억원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인력수급이 부족한 전공을 중심으로 대형사업은 입학정원의 10% 또는 200명 이상, 소형사업은 입학정원의 5% 또는 100명 이상의 정원을 이동시켜야 한다.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에 대한 이 같은 의지는 이 내정자의 파트너로 지난 10월 구조개혁 전문가로 통하는 이영 교육부차관을 임명할 때부터 알 수 있었다. 이 차관은 지난 2011년 교육부가 주도하는 대학구조개혁위원회에 출범 당시부터 참여했고, 이명박 정부때부터 교육당국의 대학알리미 도입과 반값등록금 정책 등을 평가하면서 고등교육 재정 전문가로 부상한 교육재정 전문가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내정자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선 대학교육에 비해 초ㆍ중등 교육 현안에 대해선 직접 경험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이 한계다. 당장 정부가 추진 중인 국정 역사 교과서를 차질없이 제작해 오는 2017년부터 학교에 보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 이 내정자가 맡은 교육 수장으로서의 첫 번째 과제다.

여기에 내년부터 전국 중학교에서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도를 정착하고 누리과정 예산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과제도 함께 떠안았다.

또,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이끌게 될 리더로서 산적한 복지 현안과 노동 이슈를 어떻게 아우르고 해결해 나갈지에 대해선 여전히 의문 부호가 따라 다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때 일수록 이준식 내정자가 지난 30년간 국내 대표 공학계 석학으로 교단에 선 경험과 대학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연구부총장에 오르는 등 대학 행정가로 쌓은 관록을 바탕으로 주위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주길 기대해본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