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GIST 김영훈 박사팀,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라이파이 개발 기대
짧은 소수성 리간드인 페네실라모늄 리간드가 도입딘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성능 및 안정성 평가.[DGIST 제공] 왼쪽부터 김영훈 DGIST 박사, 한양대 고민재 교수와 제1저자인 김지건 학생.[DGIST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김영훈 박사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빛에너지 전기발광 특성도 동시에 갖추고 있어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과 다기능성 광전소자, 라이파이 등 광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비롯한 태양전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양자점(퀀텀 닷)을 이용한 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양자점은 빛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핵심 소재다. 특히 양자점 태양전지 분야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성을 동시에 갖기 때문에 다기능성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우수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긴 탄화수소 체인을 가진 유기 리간드가 이용된다. 리간드는 10나노미터(nm) 정도의 작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들 표면에 흡착해 다양한 무극성 용매 무극성 용매에 분산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양자점을 기판 위에 잘 배열시킴으로써 양자점 태양전지가 만들어진다. 이 때 양자점 표면에 흡착된 긴 체인의 리간드는 양자점 간의 전하이동을 어렵게 해 태양전지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짧은 탄화수소 체인을 가진 리간드로 치환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포르마미디늄’이라는 짧은 탄화수소 체인을 가진 리간드로 치환시켜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포르마미디늄 리간드의 특성상 물과 잘 결합하고 습기를 잘 흡수하는 친수성(親水性) 때문에 공기 중 수분으로 인해 안정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짧은 소수성 리간드인 페네실라모늄 리간드가 도입딘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성능 및 안정성 평가.[DGIST 제공] 왼쪽부터 김영훈 DGIST 박사, 한양대 고민재 교수와 제1저자인 김지건 학생.[DGIST 제공] |
김영훈 박사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벤젠 그룹 기반의 ‘페네실라모늄’리간드가 가진 물 분자와 잘 결합하지 않는 소수성(疏水性)에 주목했고, 이를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표면에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광전변환효율을 14.1%까지 향상시켰고, 약 15일 간 실제 외부환경과 같은 조건인 상대습도 20~25%에서 90%이상의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유지하는 안정성도 추가로 확인했다.
김영훈 박사는 “짧은 탄화수소 체인을 가지면서 소수성을 갖는 리간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에너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6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