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주5일 수업, 복지차원에서 더 연구를
뉴스종합| 2011-06-16 10:40
초·중·고교의 주5일 수업제 전면 시행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우선 충분한 준비 없이 토요일 학교를 닫으면 교육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그 자리를 사교육이 메우는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시기상조론’이 거세다. 반면 주5일 근무제가 확대 정착되고 있는 단계인 만큼 우리 사회의 여건은 성숙해 있다는 긍정적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학부모들은 대체로 부정적 입장인 반면 학생과 교사들은 환영하는 등 교육 주체 간 입장도 엇갈린다. 교사와 학부모 간 자기편의적 사고가 엿보인다.
주5일 수업 전면 시행에 따른 부작용으로 먼저 맞벌이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들이 부상한다. 학교를 가지 않는 주말, 부모 없이 방치된 소외감과 탈선 가능성 때문이다. 빈 시간을 이용한 사교육의 기승도 우려된다. 학원가에서는 주말반 집중 편성 등 새로운 대목 기대감을 숨기지 않는다. 실제 많은 학생이 학교 대신 학원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토요 방과후 학교와 돌봄교실을 확대하는 등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 정도로는 어림없다. 더 세심한 배려와 투자가 따라야 한다. 지역간, 계층간, 학교간 교육적 불평등 최소화가 결국 정책 성패의 관건이다. 주말 학원 운영 제한 등의 조치는 새 규제로 등장, 부패 온상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주5일 수업제를 미룰 수는 없다. 이미 우리 사회환경은 주5일 시스템으로 변했는데 유독 학교만 예외로 두는 것은 불합리하다. 그러다 보니 이른바 ‘갈토(학교 가는 토요일)’에는 학교를 열지만 특강, 취미활동 등으로 적당히 두어 시간 때우고 하교하는 게 현실이다. 학생도 교사도 모두 학업에 뜻이 없다. 이렇게 해서는 교육적으로 의미가 없다. 차라리 주5일 수업제로 학교 교육 패러다임을 입시에서 창의성과 인성 위주로 바꾸는 계기로 삼는 게 나을지 모른다. 이틀은 결코 적은 시간이 아니다. 가족간 유대 강화, 배려와 공익을 먼저 생각하는 인성 개발 등 사회생활의 기본을 배울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하면 학교 수업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이것도 무상급식을 해야 하는 판에 일부 가진자만의 특권이 된다면 오히려 해가 된다.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부모의 아이들은 거리에서 방황하거나 방 안에 콕 틀어박혀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쉽게 결정하기 어렵다. 교사 편의보다는 학생 복지적 차원이 우선이다. 성급한 결정보다 더 연구가 필요한 과제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