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정전 잦은 美 어떻게 하나 봤더니…
뉴스종합| 2011-09-16 02:24
15일 전력수요 예측 실패로 전국적으로 정전사태가 일어난 가운데 자연재해가 잦은 미국은 정전도 흔히 일어나지만 전기공급업체들이 대부분 민영회사여서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허리케인 아이린이 미국 동부지역을 강타했을 때도 여지없이 정전이 발생, 동해안 남부 노스 캐롤라이나에서부터 북부 메인주에 이르기까지 약 400만 가구가 짧게는 몇시간, 길게는 1주일 이상 전력없이 생활해야 했다. 미국은 국토가 넓은 반면 한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구는 많지 않기 때문에 대도시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인구밀도도 높지 않다. 그러다보니 전력선도 대부분 지상에 노출돼 있다.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허리케인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무성한 나무들이 바람에 쓰러지면서 전력선을 건드려 끊어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로 발생한다. 따라서 세계 최강국의 면모에 걸맞지 않게 비가 많이 오거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이면 주민들은 가장 먼저 정전을 걱정해야 한다. 발전이나 전력공급은 한국과 달리 정부가 개입하지 않은 채 일체를 민간 회사에서 한다. 전력 관련 회사만 수백개에 이른다.

따라서 정전 시 책임소재도 분명치 않다. 지난 2003년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등에 걸쳐 대규모 정전15사태가 발생했을 때도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책임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 전력산업이 민영화된 이후 전력회사들 사이의 자율규제기구인 북미전력안정성위원회(NERC)가 전력 공급시스템의 안정성을 규제하고 있지만 권한이나 재정조달에 한계가 있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전력산업이 발전, 송전, 배전 부문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설비를 몇 개 회사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경우도 많아 유사시 책임소재가 불분명진다. 따라서 정전 등 문제가 발생하면 주지사나 시장 등 선출직 지자체장이 빠른 복구를 독려하는 등 정치권에서 신경을 많이 쓴다. 몇주전 메릴랜드의 전력회사 PEPCO에서 정전사고를 많이 내다보니 앞으로 정전시 하루에 몇만달러씩 이 회사에 벌금을 물린다는 법안을 만들기도 했다.

허리케인 ‘아이린’ 때는 전력공급망인 그리드 시스템 일부가 파괴되거나 지역별 발전소, 송전망이 크고 작은 피해를 입는 바람에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뉴저지주 레이시 소재 오이스터크릭 원전을 비롯해 동부의 원전 2곳은 사고 예방을 위해 아예 가동을 멈췄고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캘버트클리프 원전에서는 강풍에 날려온 알루미늄 건축자재가 변압기를 강타해 가장 낮은 등급의 원전사고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도 정전이 되면 크고 작은 추가 피해가 불가피하다. 인터넷이나 전화 등이 함께 두절되는 일도 많고 차고 문이 열리지 않아 출퇴근이 어렵게 되기도 한다. 남부 맨해튼 등 금융사 전산시스템은 가동 중단시 금융시장에 큰 파장이 있을 수 있어 정전에 대비한 자체 발전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으나 온전한 수준은 아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