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정치상황 등 판박이…불확실성이 변수
뉴스종합| 2011-12-21 10:58
2006년엔 단기 비상경영체제

이번엔 최소 6개월 이상 지속

대선 직전 정치적으로도 유사

北 권력다툼 불안감은 더 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재계가 북풍(北風) 앞에 그대로 노출됐다. 재계의 북한 리스크는 늘 있어왔던 것이지만 이번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북한 변수’는 2006년 10월 북한의 핵실험 직후와 놀랄 만큼 유사해 주목을 끈다. 5년 전의 데자뷔다.

글로벌 재정위기와 저성장 시대를 극복할 위기경영을 준비해온 재계는 당장 최고 수위의 ‘비상경영’ 불을 깜빡이고 있다. 다만 5년 전 북한 핵실험 이후 재계의 비상경영이 단기전 양상이었다면, 이번에는 북한의 권력 다툼 노출 여부에 따라 우리 체제 근간을 위협할 수 있는 중차대한 위기라는 점에서 최소 1~2개월, 최대 6개월 이상 위기경영을 다잡아야 하는 기로에 놓인 점은 달라 보인다.

일단 정치적으로 유사한 흐름이다. 5년 전 북한 핵실험은 대선 직전의 해에 터졌고, 이번 김 위원장 사망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발생했다. 국제정세상 미국ㆍ중국ㆍ일본 등 정치ㆍ경제 협력이 유난히 필요한 시점에서 돌출한 악재라는 점도 비슷하다.

북한 리스크 발생 직후 시장은 요동쳤지만 빠르게 안정세를 찾고 있는 점도 유사하다. 5년 전 북한 핵실험 후엔 코스닥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하는 등 심하게 흔들렸지만 금세 안정을 찾았다. 이번 역시 하루 만에 증시 등이 진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대북 리스크의 폭발성은 확연히 다르다. 2006년엔 핵실험 후 북핵협상 당사국이 비교적 발빠르게 움직여 정치 불안을 없앰으로써 경영불안도 다독일 수 있었지만, 김 위원장 사망으로 인해 북한 권력다툼이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는 상황에의 불안감은 5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이 커 보인다.

재계 비상경영이 단기가 아닌 장기 쪽으로 초점을 두고, 북한 리스크를 중장기 경영변수로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사공일 무역협회장은 이에 대해 “기업은 지금껏 잘해왔듯이 앞으로도 경영에 전념해야 할 것”이라며 “다만 북한 리스크는 장기적으로 잠복해 있는 만큼 세련된 경영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철 전경련 전무는 “시장이 급속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경영에 있어서 북한 리스크가 사라졌는가 하는 문제는 별개”라며 “북한에서 권력 다툼이 우리 체제를 심각하게 위협하게 되면 소비심리는 싸늘하게 식을 것이고, 재계가 비상경영 수위를 더 높여야 하는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은 장기적인 북한 변수 경영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있는 분위기다. 5년 전엔 북핵 리스크에 대외 신뢰도 저하 등 수출입 동향에 유난히 신경을 썼지만, 이번엔 글로벌 재정위기와 저성장 등 복잡한 이슈와 곳곳에서 맞물리고 있어 내년 상반기 내내 ‘비상등’을 켜겠다는 것이다. 

김영상 기자/ysk@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