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소아성장 이기형 교수가 전하는 ‘내 아이 키, 숨어있는 1㎝를 찾는 비법’
라이프| 2012-10-31 11:17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어린이 키 성장제의 거짓ㆍ과장광고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공정위에 따르면 일반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인 키 성장제가 마치 키를 키울 수 있는 약인 것처럼 과대광고를 하고 터무니 없이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었다. 자녀의 키를 키울 수만 있다면 비싼 약이라도 마다하지 않은 부모의 희망을 악용한 것이다. 이러한 식품은 효능이 불분명한 것은 물론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기형 고려대학교 소아청소년과 교수(소아성장 전문의)를 통해 자녀의 키를 키우기 위한 바람직한 노력에 대해 알아본다.

▶부모 키가 중요하지만... = 자녀 키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의 키, 즉 유전적인 요소다. 자녀 예상 키의 70%이상이 부모에 의해 결정된다. 부모의 키를 통해 자녀의 예상 키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남자는 부모 평균 키에서 6.5㎝를 더한 키, 여자는 6.5㎝를 뺀 키이다.

하지만 영양을 비롯한 외부 환경적인 요소도 성장에 충분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키를 키우려는 노력이 전혀 의미없는 것은 아니다.

성장호르몬은 잠들고 1~2시간 뒤 숙면을 할 때 가장 왕성하기 때문에 충분한 숙면은 키 크는 데는 필수다. 더불어 단백질, 무기질 등이 풍부한 음식으로 영양상태를 보충하고, 운동하는 과정에서 몸속 성장호르몬이 자연적으로 생성되므로, 운동을 열심히 하는 것도 성장에 도움이 된다. 


▶저신장이 아닌지, 관심있게 지켜봐야 = 또래 100명 중 세 번째로 작은 아이까지는 ‘저신장’으로 본다. 또한 또래 평균 신장보다 10㎝이상 작아도 저신장을 의심한다. 그래서 만 2세부터 사춘기 전까지 매년 성장 속도가 4㎝ 이하라면 관련 검사를 해봐야한다.

저신장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성장호르몬이나 갑상선호르몬이 결핍됐을 때도 나타나고, 터너증후군, 러셀-실버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이나, 뇌종양, 만성 신부전증과 같은 질병이 원인일수도 있다. 또 유전적인 영향과 같이 질병과 관계없이 저신장인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의 저신장은 이 경우에 속한다.

비만 역시 성조숙증의 한 원인으로 저신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충분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성호르몬이 적당히 분비돼야 한다. 하지만 성조숙증으로 성 호르몬 분비가 많아지면 2차 성징이 너무 이른 나이에 나타나고 성장판도 일찍 닫히게 된다. 때문에 당장은 발육이 빠르고 키가 커보일 수 있지만, 최종 신장은 오히려 작을 수 있다.

저신장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뼈나이’다. 손 엑스레이 사진을 통해 뼈 나이를 측정했을 때, 실제 나이와 뼈 나이가 일치하는데도 저신장에 속한다면, 이는 유전적인 영향 등으로 인해 성인이 됐을 때도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크다. 체질적으로 늦게 크는 아이는 뼈나이를 측정했을 때 실제 나이보다 뼈나이가 어린경우가 많다.

▶키 작은 내 아이, 키울 순 없을까 = 저신장 치료는 질병이 원인일 경우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이다. 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성장호르몬 치료를 할 수 있다. 특히 성장호르몬 결핍증인 아이에게 성장호르몬 치료를 적용하면 첫 해 8~9㎝, 다음해에 7~8㎝까지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로 효과가 좋다.

다만 성장판이 이미 닫히거나 뼈 나이가 너무 진행되어 성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직 성장판이 열려있고, 예상되는 성인 키가 작을 것으로 예측될 때 성장호르몬 치료를 적용한다. 사춘기 신체발달이 끝나면 뼛속 성장판이 닫혀 키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2차 성징 시기 이전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아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래서 성장호르몬 치료는 어릴 때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 가능하면 여아는 만 9세 이전, 남아는 만 10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한다.

이기형 교수는 “최근 과대 광고를 통해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키 성장제나 의료기기 등이 무분별하게 유통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며 “키가 작아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소아성장 전문의에 의한 진단과 상담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