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1번지
수기로 작성땐 검색 불가능…은어 사용땐 키워드 다를수도
뉴스종합| 2013-07-18 11:10
목록없는 문서로 분류되면 찾기 어려워
일부선 고의파기등 훼손 가능성 제기도
“검색못하면 존재가치 없어…이해 안된다”




실종 논란 한가운데 선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놓고 국내 기록물 관리 전문가들도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기록물 관리 체계를 이해 못한 무지의 소치라는 비판부터, 고의적인 파기까지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이다.

남영준 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18일 헤럴드경제와 인터뷰에서 검색 과정의 오류 가능성을 제기했다. 남 교수는 “지금 언론에 나온 이야기들은 체계를 잘 모르고 하는 말들”이라며 “예를 들어 녹취록 중 1번부터 100번까지 문서가 있는데 이 중 1번 문서만 기록물로 지정했다면 번호체계가 사라지며 (다른 문서들은) 목록 없는 문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과 달리, 있는지 없는지조차 모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경우 문서분류 체계가 달라지면서 검색 자체가 불가능해 생긴 해프닝인 셈이다.

검색 키워드의 문제도 거론했다. 남 교수는 “문서가 남북정상회담 같은 단어가 아닌 은어로 쓰여 있을 수 있다”며 “키워드 검색 여부를 확인하거나, 당시 관련자들이 확인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전했다.

목록 분류 방식이 일반 문서들과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왔다. 김중권 광주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도 “대화록의 존재 여부가 검색이 되지 않는 것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 안 된 탓으로 볼 수 있다”며 “비밀문건의 경우 전산 시스템이 아닌 수기로 작성됐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목록 검색이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간별 검색 등 다른 검색 가능성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기간별 검색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결국 하나하나 손으로 찾는 방법밖에 없는데, 이건 불법이자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분실이나 파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외부인이 검색하지 못하도록 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분실이나 파기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일부에서는 고의 파기 등 훼손 가능성도 제기했다. 문성빈 연세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국가기록원 정도라면 정상회담 대화록 정도는 못 찾을 수 없다는 게 상식 수준의 생각”이라며 “웬만한 키워드를 넣어서 검색할 수 없다면, 존재가치 자체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교수는 “콘텐츠 접근 권한과 검색 가능 여부는 다른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뭔가 꿍꿍이가 있을 가능성도 의심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정호 기자ㆍ김하은ㆍ박사라 인턴기자 /choij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