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데이터랩] ‘일하는 고령자’ 600만명…시니어 취업 27%는 ‘단순노무직’
뉴스종합| 2014-09-15 11:12
55~64세 고용률 OECD평균 웃돌아
급속한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50~64세 비중 2050년엔 39%

“임금이 일자리 선택기준”은 옛말
“일의 양·시간대가 더 중요” 28%
양질의 단시간 일자리 절실

직무교육·기술훈련 강화하고
공공인프라 통해 구직경로 확대해야


100세 시대. 은퇴연령은 낮아졌지만, 더 오래 일해야 한다. 그래야 지속적인 삶이 어느 정도 보장된다.

극빈층으로 추락하기는 쉬워도 상승의 사다리를 타기란 녹록하지 않은 법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함께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55~79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는 요즘, 은퇴 후 우리가 일할 곳은 어디일까. 지금 우리 아버지, 어머니는 어디에서 일하고 있을까.

통계청의 조사를 최숙희 한양사이버대(시니어비즈니스학과) 교수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5년 고령자 395만2000명이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올해는 일하는 고령자가 61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5.0%씩 증가했다.

생산가능인구는 2000년 3370만2000명에서 2005년 3453만명, 2010년 3598만3000명, 2020년 3656만3000명이 됐다가 2030년 3289만3000명, 2050년 2534만7000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3704만명) 정점을 찍은 뒤 하강곡선을 그릴 전망이다. 이 중 15~24세 비중은 2000년 22.8%에서 2050년 15.7%로, 25~49세는 같은 기간 58.8%에서 45.2%로 예상된다. 반면 50~64세는 2000년 18.4%에서 2050년 39.1%로 추정됐다.

이런 급속한 고령화를 반영하듯 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55~64세 고용률은 우리나라가 63.1%로 OECD 평균(55.6%)보다 월등히 높다.


그렇다면 고령자는 어디에서 일할까. 경제규모가 커지고 직업의 종류가 다양해졌더라도 올 5월 기준 고령자 직업에서 단순노무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26.7%(164만명)로 가장 높다. 10년 전 2005년에도 25.1%에 달했다.

이어 기능ㆍ기계조작 종사자 21.0%, 서비스ㆍ판매 종사자 20.6%, 농림어업숙련종사자 17.8%, 관리자ㆍ전문가 8.8%, 사무종사자 5.1%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10년간 사무종사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13.0%에 달한다. 다른 직업보다 빠른 증가속도다. 하지만 고용자는 31만2000명으로 가장 적다. 사무직 고령자의 고용확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올해 기준 고령자 고용산업 ‘톱3’를 보면, 사업ㆍ개인ㆍ공공 서비스업이 205만4000명, 도소매ㆍ음식숙박업 119만8000명, 농림어업 118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72.2%에 달한다. 자영업자나 농어촌의 노인네들이다. 고령자 취업 확대를 위해 우리가 가야 할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도 일해야 한다. 한집 건너 취업 못한 자녀가 있는 현재, 부모와 자식 뒷바라지에 노후라고는 국민연금 뿐.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2005년 취업 희망 고령자는 전체의 58.8%였다. 10년이 흐른 올해 이 비율은 62.0%로 높아졌다.

일자리 선택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가 ‘임금수준’을 작년부터 추월했다.

임금이 일자리 선택의 기준이 된다는 응답은 2005년 50.6%에서 올해 23.1%로 ‘반토막’ 났다. 일의 양과 시간대가 중요하다는 대답은 같은 기간 13.1%에서 28.0%로 배 이상 증가했다. ‘양질의 단시간 일자리’가 절실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계속 일하고 싶다’는 답변은 2005년 14.3%에서 올해 18.6%로 뛰어올랐다.

근로자의 고령화는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기업은 임금부담 증가를 막기 위해 고령자의 구조조정을 시도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어떻게 해야 하나. 최 교수는 “고령층의 고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교육이나 기술훈련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특히 공공인프라를 통한 구직 경로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근로의 가장 큰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라는 응답이 올해 기준 54.0%로 가장 많았다. 노후 소득 불안정에 대한 우려를 없애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