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한국 드론 기술, 어디까지 왔나
뉴스종합| 2015-05-29 10:59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29일 대전 대덕 연구단지 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무인이동체 및 엔지니어링산업 발전전략 보고회’를 갖고 드론과 자율주행차 등 무인이동체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함에 따라 관련 국내 기술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다.

미래부에 따르면 드론, 자율주행차 등 무인이동체 글로벌 시장은 올해 251억달러(27조8천억원)에서 10년 후인 2025년에는 1537억달러(170조2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세다. 정부의 목표는 무인이동체 부문에서 2025년까지 세계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650개 관련기업 육성, 매출 15조원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무인이동체 시장 전망(제공=미래창조과학부)

이에 따르면 무인항공기인 드론 분야에서 현재 국내 기술 수준은 세계 7위다. 드론 분야는 크게 저고도의 경량 ‘소형드론’과 고속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를 비롯한 민군 겸용 무인기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소형드론’은 소비자 시장이 급속히 증가 중이며, 민수활용 확대에 따라 ‘민군 겸용 무인기’ 시장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인항공기(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드론의 경우 국내 제조기업의 가격경쟁력은 중국에 뒤쳐지고 있으며 기술력은 미국과 유럽 등에 못미치는 것으로 진단됐다. 국내 제조 기업은 주로 중국산 부품을 활용하고 있으며 매출 규모가 영세해 연구개발(R&D)여력도 부족하다는 것이 미래부의 분석이다.

민군 겸용 무인기의 경우 국내 기술진이 틸트로터 제조 기술을 세계 2번째로 확보했으나 활용 시장 발굴 미흡으로 시장 진출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10년간 연구 끝에 지난 2012년 국산 틸트로터 개발에 성공했으나 현재까지 시장 형성이 되지 않아 사업화가 지연되고 있으며 전체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임무탑재장비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소형드론의 경우 가격 및 기술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민군겸용 무인기 분야에서는 실용화와 시장 창출을 목표로 삼았다.

미래부는 산업부, 안전처, 국방부, 방사청 등과 합동으로 국내 부품선도기업 및 출연연의 기술역량을 집중해 소형드론의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민군 겸용 무인기 기술 실용화를 위해서는 산업부와 국방부, 방사청이 협력해 내년부터 오는 2023년까지 원양어군탐지, 군 수요 등을 기반으로 틸트로터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방안이다. 이와 함께 임무탑재장비 등을 국산화해 오는 2021년부터 2035년까지 약 22조원의 관련 시장을 창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정부는 드론을 포함해 자율주행차와 농업ㆍ해양 분야 무인 기계 등 무인이동체 산업 육성을 위한 범정부 컨트롤타워인 ‘무인이동체산업발전협의회’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 전반에 대한 통합 로드맵을 수립하고 협력사업을 발굴하며 법제도 정비ㆍ인프라 확충ㆍ실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기구다. 또 민관 합동 ‘무인이동체 포럼’을 신설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2020)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하기로 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수입 의존도가 레이더, 영상센서, 통신모듈 등 10대 핵심부품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2020년까지 상용화 지원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실도로에 ‘시범도로 테스트베드’를 올해부터 2019년까지 구축하고 완전자율주행 테스트가 가능한 소규모 실험도시도 만들기로 했다. 이와 함께 무인이동체 기술을 농업, 해양산업에 적용, 스마트 무인 농기계 및 수중건설용 무인체 독자 기술력 확보도 추진한다.

농업분야에서는 벼농사 제초장비 실용화와 국내 환경에 적합한 소구획 정밀 농업 시스템 개발과 함께 야지, 험지 자율 주행 기술 등 군 선진기술을 활용하여 무인농업 독자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에 적용 가능한 수중건설 무인화 장비를 2012년까지 국산화해 급증하는 해양구조물 미래수요에 대비하기로 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기존 전통산업의 경쟁력만으로는 다양한 융합 신기술이 적용되는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며, “관계부처가 협력하여 기술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기술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제도‧인프라를 갖추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suk@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