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그래서, 전쟁해야 할까요?
뉴스종합| 2015-08-22 09:09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국회도 연일 뜨겁습니다. 북한의 기습 포격 이후 국회는 연일 강경한 발언이 쏟아집니다. 비단 국회만은 아닙니다. 지뢰도발로 두 명의 장병이 중상을 입은 기억이 채 가시지도 않았습니다. 그만큼 분노가 거세다는 방증입니다.

북한의 기습 포격 이후 국회는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 했습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가차없이 응징하는 단호함”을 촉구했습니다. “불편과 희생을 각오하면서 전 국민이 단결해야 북한의 도발 습성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 뒤로 “가차없는 응징”은 계속 국회에 등장합니다. 청와대도 다르지 않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어떤 추가 도발에도 단호하게 대응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군의 대응에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즉각 반격하지 않고 70분이나 시간이 걸렸고, 원점타격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입니다. 북한이 무력도발을 했으니 즉각ㆍ정확하게 무력으로 대응했어야 했다는 주문입니다. 군의 무력 대응 여부가 논란이 아닌, 군의 더 적극적이고 강력한 대응 여부가 논란이 됐습니다. 군의 무력 대응은 상수, 대응 수위는 변수가 된 셈입니다.

북한의 무력도발을 인정하거나 이해하는 주장은 당연히 없고, 있어서도 안 됩니다. 다만, 마치 전쟁을 불사하겠다는 각오가 과연 이성적인 판단일지, 아니 우리 모두는 그런 각오가 돼 있는 것인지는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긴급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정두언 국방위원장은 “강경 대응이란 표현이 적절하지 않다”며 “강하게 대응할 필요도 없고 약하게 대피할 필요도 없고 메뉴얼대로 원칙적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워낙 강경한 발언이 쏟아진 탓에 정 위원장의 발언은 언론의 큰 주목을 받진 못했습니다.

도발에 대한 엄중한 대처를 비판하는 이는 없습니다. 다만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발언은 상황을 악화시킬 뿐입니다. 지금 가장 불안한 이는 누구일까요? 국회와 정치권에서 쏟아지는 강경 발언에 가장 불안해하고 있을 사람은 누구일까요? 우리 모두 누군가의 자식은, 친구는, 동생은 지금 군인으로 국방의 의무를 지고 있습니다.

국회는 마치 전면전까지 각오하라는 태세지만, 그 전면전은 바로 우리의 자식, 친구, 동생과 맞닿아 있습니다. 목표는 같습니다. 북한의 무력 도발을 억제하는 길입니다. 그리고 그 길은 더 강한 보복만이 유일한 길은 아닙니다. 냉정한 대응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dlcw@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