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안함(뉴스속보)
지자체 앞 다퉈 ‘지질공원’ 인증 추진, 이유는…규제 적고, 관광 등 지역경제 도움
뉴스종합| 2016-03-06 08:02
[헤럴드경제=원승일 기자] 최근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앞 다퉈 국가지질공원 인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왜 이름도 생소한 지질공원 사업에 관심이 높을까.

바로 까다롭지 않은 규제에 있다. 지질공원은 국립공원 등 타 보호지역과 달리 특별한 행위제한이 없다. 용도지구 설정 등 재산권 제약이 없다보니 관광자원 개발 및 발굴이 다른 자연공원보다 쉽다.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들로서는 지역 내 관광자원을 활용해 지질공원으로 인증되면 새로운 수입원이 생기는 것이다. 더구나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모델로 자리매김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지질공원은 지질자원을 보전하고, 교육ㆍ관광목적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공원 제도다. 주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질명소를 적극 활용, 지역을 발전시키고 스스로 보존하게 만드는 것이 지질공원 제도의 핵심이다. 환경부는 2012년 지질공원제도를 도입한 이래 3년간 7곳의 지질공원을 인증했다.

7곳의 지질공원은 2012년 12월 제주도 10개소(한라산, 성산일출봉, 수월봉 등)와 울릉도ㆍ독도 23개소(성인봉, 나리분지 등) 지정을 시작으로 부산(2013년12월), 청송과 강원평화지역(2014년4월), 무등산권(2014년12월), 한탄ㆍ임진강(2015년12월) 등이다. 환경부는 4년마다 지질공원의 재평가를 통해 인증 지속여부를 결정한다.
한탄ㆍ임진강 지질공원 중 경기도 연천군의 재인폭포[제공=환경부]

환경부에 따르면 제주 수월봉의 경우 지질공원 인증 후 2012년 7만7000명이던 방문객 수가 지난해에는 31만명으로 4배나 증가했다. 이처럼 지질공원이 각광을 받자 인천 옹진, 전남 여수, 강원 태백ㆍ정선ㆍ영월, 경북 경주ㆍ포항ㆍ영덕ㆍ울진, 전북 무주ㆍ진안ㆍ고창ㆍ부안 등 13곳의 지자체에서 지질공원 인증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2022년까지 17곳의 지질공원을 추가 지정할 예정이고, 이 중 8곳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목표로 할 계획이다. 유네스코에서는 지질유산의 보전ㆍ교육ㆍ관광을 통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곳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하고 있다. 올해 현재 33개국 120개 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한국은 2010년 제주도가 세계지질공원으로 처음 인증됐고, 청송 국가지질공원도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해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다.

유태철 환경부 공원생태과장은 “우리나라는 지질학적으로 다양성이 높아 세계적 수준의 지질유산들이 많다”며 “우수한 지질유산을 발굴해 지질공원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려는 지자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w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