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창동 철도기지에 K-팝 공연장·지식산업단지 세운다
헤럴드경제| 2016-04-18 11:31
지역별 특성따라 3개권역 구분
대구서구·북구엔 섬유·안경센터
안동 원도심 역사문화단지로 특화

서울 창동역 철도차량기지가 K-팝 공연장과 지식산업단지로 탈바꿈해 서울 동북권 경제거점으로 거듭난다. 과거 행정 중심지였지만 공공기관이 이전해 활력이 떨어진 원도심을 살리는 ‘중심 시가지형’ 사업도 전국 곳곳에서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확정과 특화구상, 도시재생사업 종합지원방안을 심의ㆍ의결했다.

▶공공청사 떠난 자리에 경제거점=‘경제기반형’으로 도시재생이 이뤄지는 곳은 공공청사가 떠났거나 기존에 있던 항만, 철도시설이 이전하는 자리다. 이 공간을 지역경제 거점으로 변신시킬 구상이 마련됐다. 서울에선 유일하게 ‘경제기반형’으로 선정된 노원구 상계동, 도봉구 창동 일대엔 지식산업단지와 케이팝(K-POP) 공연장이 들어선다. 현재 이곳엔 4호선 차량기지와 구민 체육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곳을 서울 동북권 경제거점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대구 서구와 북구엔 섬유ㆍ안경산업을 활용한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선다. KTX가 통과하는 동대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도가 낮은 서대구역은 복합환승센터로 개발된다.

바다를 면하고 있는 인천 중구와 동구에는 인천내항(1ㆍ8부두)과 차이나타운, 월미도유원지를 연계한 해양ㆍ문화산업거점을 조성한다.

충남도청이 떠난 대전 중구 선화동에는 창조문화센터가 들어서고 동구 대전역 주변엔 마이스(MICE)산업시설을 유치한다.

▶구도심 ‘재창조’…인구 끌어들인다=한때 각 도시의 행정ㆍ업무ㆍ상업 중심지였으나 신시가지에 밀려 쇠퇴한 곳들은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으로 도시재생이 추진된다.

경북 안동시 원도심엔 태사묘, 한옥마을 등 도시의 풍부한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한 특화거리가 조성된다. 창조산업을 위한 창업인큐베이팅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경남 김해시의 구도심에는 ‘월드 누들 빌리지’, ‘세계문화 야시장’ 등 다문화 요소를 활용한 관광 기반이 조성된다. 전북 전주의 구도심은 전통문화거점으로 탈바꿈한다. 한옥마을과 전주부성을 연계해 도심 관광을 활성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원도심의 위상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충북 충주 구도심 내 우체국 이전부지를 비롯한 ‘노는 땅’엔 청년창업 문화ㆍ예술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경북 김천에선 KT&G 폐창고를 활용한 복합문화센터가 들어선다.

부산 영도구 구도심은 ‘삼진어묵’ 등 경쟁력을 갖춘 지역 내 점포을 활용해 기술 전수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전통상권 회복한다는 구상이다. 울산 중구에 있는 중부소방서 이전부지와 장기방치건축물 등의 부지에는 문화ㆍ산업 멀티플렉스 기능을 도입해 젊은 인력들이 원도심으로 유입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낙후지역, ‘지역적 특성’으로 재기= ‘일반 근린재생형’은 대부분 전통적으로 주거지가 밀집해 있던 곳들로, 별다른 개선이 이뤄지지 못한 채 시간이 흐르며 주거환경이 낙후된 상태다.

먼저 ‘해방촌’으로 알려진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일대 주거지는 녹색문화마을로 개선한다. 남산의 자연자산과 지역 내 문화예술인들을 적극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정비구역 해제지역은 대학생 등을 위한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지역 맞춤형 정비사업을 추진해 낙후한 주거환경을 바꾼다.

대구 서구 비산동 일대는 지역 내 전통시장인 원고개시장의 역사와 문화적 자산을 활용해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고 소규모 지역일자리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부산 서구 아미동 비탈길에 조성된 비석마을은 안전한 주거지로 정비하고 빈 공간에는 근린점포 등을 유치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충남 아산시 장항선 모산역 이전부지는 어린이 체험문화 시설 등으로 꾸며진다. 인천 강화도에는 고려시대 역사적 유ㆍ무형 자산(왕의 길)을 활용한 테마형 시장 등이 조성된다.

정부는 이들 33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범정부 종합지원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

먼저 사업 단계별 ‘관문심사’를 도입한다. 단계마다 목표를 달성할 경우에만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다.

각 지자체의 도시재생 역량을 강화하도록 전문가로 구성된 컨설팅단과 도시재생지원기구(LH, 국토연구원 등)를 통해 지원을 확대한다. 더불어 각 도시재생사업 지역엔 의무적으로 현장지원센터가 마련된다. 민간 총괄코디네이터가 센터장을 맡아 현장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사업을 추진하도록 했다.

박준규 기자/ny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