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안함(뉴스속보)
'저질' 일하는 청년들은 느는데, 정부는 "비정규직 줄고 있다"...왜?
뉴스종합| 2016-05-27 07:02
[헤럴드경제=원승일 기자] 비정규직 수가 조금씩 줄고 있다지만 청년 비정규직은 되레 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 다수의 첫 취업 형태가 인턴, 기간제 등 비정규직인데다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재계약을 통해 비정규직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정부는 전체 비정규직 비중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밝혔지만 청년들은 비정규직 등 질 낮은 일자리로 몰리면서 고용환경은 오히려 더 열악해졌다는 지적이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통계청의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인용해 비정규직 비중이 조금씩 줄고 있다고 밝혔다.

표-비정규직 연령계층별 규모(3월 기준)[제공=통계청]

두 부처에 따르면 전체 비정규직 비중은 3월 기준으로 2013년 32.3%에서 2014년 32.1%, 지난해와 올해 각각 32.0%로 감소 추세다.

하지만 연령계층별로 구분해서 보면 같은 기간 청년층(20~29세) 비정규직 비중은 2013년과 2014년 16.9%에서 지난해 17.1%, 올해 17.2%로 매년 증가해 왔다.

특히 노동시장에 첫 발을 디딘 청년들의 비정규직 비중은 더 높아졌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신규 채용된 청년층(15∼29세)의 비정규직 비중은 64%였다. 2007년 청년 신규채용 비정규직 비율이 54.1%임을 감안할 때 8년 새 약 10%포인트 가량 급증한 것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도 보고서 ‘취약계층 일자리 사업평가’를 통해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중이 2011년 27.7%에서 지난해 30%로 매년 줄지 않고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기간제, 파트타임 등 질 낮은 일자리를 중심으로 청년 고용이 이뤄져 왔음을 보여준다.

청년을 비롯해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 비율이 여전히 낮은 점도 비정규직 비중이 줄지 않는 이유 중 하나다.

고용부의 ‘사업체 기간제근로자 현황조사’ 결과를 보면 3월 기준으로 1년6개월~2년미만 정규직 전환은 2012년 23.2%에서 2013년 13.1%로 급감한 뒤 2014년 18.2%로 올랐으나 지난해 14.4%로 다시 낮아졌다. 더구나 2년 이상 근무해 정규직이 돼야 하는 기간제근로자의 전환비율도 2012년 44%에서 2013년 39.2%, 2014년 34.4%. 지난해 25.5%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김복순 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취업난에 노동시장에 첫 발을 내딛는 청년들 다수가 비정규직 등 불안정한 일자리로 내몰리고 있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 해소, 정규직 전환 인센티브 확대 등 일자리의 질적 전환이 이뤄지지 않는 한 청년들은 여전히 비정규직을 전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