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망분리·가상화’황금기…강소기업 약진
뉴스종합| 2017-07-31 11:36
망분리 마친 기업, 업무효율 위해
가상화·클라우드 환경 구축 나서

대형 SI업체 주도속 강소기업확대
공공기관의 중기 배려부족 지적도


금융권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시작된 망분리·가상화 솔루션 도입이 산업계에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정보보안을 이유로 망분리 작업을 마친 기업이나 기관들이 이후 업무효율성 증대를 위해 가상화·클라우드환경 구축에 재차 나서는 등 연쇄적으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과거 일부 대형 시스템통합(SI)·네트워크통합(NI) 기업이 주도하던 관련 시장에서 기술력을 갖춘 강소기업의 활약상도 차츰 두드러진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망분리·가상화 시스템의 기능 확장이나 개선, 재구축을 위한 공공기관의 발주가 최근 쏟아져나오고 있다. 


지난 6월부터 이날까지 2달간 입찰이 진행 중인 사업만 30여건에 달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최근 발주한 ‘클라우드서비스 구축 과제 연구’가 대표적인 예다. 중진공은 이미 오는 8월 완료를 목표로 망분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여기에 클라우드 환경을 추가로 마련해 업무효율성 및 고객편의성을 한층 높인다는 목표다.

이 외에도 한국식품연구원은 전북혁신도시로 청사을 옮기며 ‘클라우드인프라 구축’에 나섰고, 한국전력공사는 ‘전력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용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망분리·가상화 차원에서도 ‘전산인프라 가상화 및 고도화사업’(한국임업진흥원), ‘서버 가상화시스템 구축’(충남대병원), ‘서버 및 가상화 솔루션 업그레이드’(부산항만공사), ‘전산망분리 등 보안강화사업’(국민연금공단) 등이 곳곳서 진행 중이다. 공공시장 황금기가 찾아온 것이다.

망분리는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해 보안사고를 막는 개념. 업무용 PC, 인터넷용 PC를 따로 두는 ‘물리적 망분리’와 단일 PC에서 가상화 기술로 망을 분리하는 ‘논리적 망분리’로 나뉜다.

최근에는 비용과 운영효율성 측면에서 강점을 갖춘 VDI(논리적 망분리의 한 방식) 기술이 시장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망분리 이후 업무영역의 클라우드화도 쉬워 중진공의 사례처럼 추가 사업제안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클라우드와 망분리는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니다. 인터넷과 업무영역의 망분리가 먼저 이뤄진 가운데, 업무영역의 가상화를 한 차례 더하는 개념”이라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려면 서로 같은 솔루션을 쓰는 것이 좋기에 앞서 공공사업을 선점한 기업들의 기회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관련 시장이 성장을 거듭함에 따라 오랜 기간 연구개발에 매진해온 강소 IT기업의 약진도 도드라진다. 퓨전데이타는 지난 4월 중진공의 망분리 사업을 수주한데 이어 지난 27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차세대 IT인프라 구축사업을 맡는데도 성공했다. 국내 IT 기업 최초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기술을 적용, 가상화 구축 비용과 시간을 각각 30%, 50%씩 줄인 ‘JD원(JD-ONE)’ 솔루션을 출시하는 등 기업의 요구를 빠르게 반영한 결과다.

틸론 역시 지난 27일 제로클라이언트(운영체제 없이 작동하는 접속형 단말 컴퓨터) ‘제로플렉스’를 출시하고 시장 공략에 나섰다. 제로플렉스는 업계 최초로 지문인식 기능을 적용, 물리적 보안성도 한층 높였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틸론 관계자는 “초도 양산물량이 소진됨에 따라 하반기 생산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연간 수요가 2만5000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망분리 이후 클라우드 도입에 나선 공공기관도 주요 수요처다.

다만, 업계에서는 관련 시장의 성장 속도와는 달리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배려‘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종명 퓨전데이타 대표는 최근 본지와 인터뷰에서 “과거에는 정부기관이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때 국산 제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해야 하는 규정이 있었다”며 “그러나 이마저도 사라진 지 오래다. 작지만 기술역량을 가진 회사들이 지속해서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이를 발판으로 해외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