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미국 금리인상 후폭풍 없다…이주열 “시장 기대에 부합”
뉴스종합| 2017-12-14 09:24
[헤럴드경제=이슈섹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일(현지시간) 정책금리 0.25%p 인상을 단행했다. 이로써 한은의 기준금리(1.50%)와 같아졌으며 내년 한·미간 금리 역전 가능성도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거쳐 이런 내용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발표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올 들어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인상이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왼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연합뉴스]

연준의 12월 금리 인상을 100% 확신하고 있던 시장의 관심은 이미 내년 금리이상 속도에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연준의 새 이사에 긴축통화를 선호하는 ‘매파’ 마빈 굿프렌드 카네기멜런대 교수가 지명됐고, 내년에는 FOMC 위원 일부도 매파 성향 인사로 바뀔 예정이어서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이처럼 미국 금리인상이 현실화되면서 국내 1400조원이 넘는 가계 부채의 이자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이달 초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미국 연준까지 가세하면서 전체 부채 보유가구 중 12%에 달하는 위험가구의 연체부담이 늘어나 가계부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더구나 연준이 내년에 금리를 세 차례 더 올릴 것으로 예고하고 있어 향후 국내 대출 금리의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돼 가계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과 보험사, 저축은행 등 금융권 전반의 가계대출은 무려 10조1000억원 늘어 증가세가 1년 만에 최대 폭으로 확대됐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둔화했지만, 여전히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한은이 분기별로 발표하는 가계신용잔액은 지난 9월말 기준 1419조1000억원으로, 2014년 9월 말 이래 362조7000억원(34.3%) 늘었다. 여기에 10월 금융권 전반의 가계대출 증가액 9조9000억원과 11월 10조1000억원을 더하면 1450조원에 육박한다.

증가하고 있는 가계부채에 국내 대출금리 상승세에 속도가 붙을 경우 한국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증가로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악화하고, 이는 가계지출 감소로 이어져 소비위축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특히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위험가구를 중심으로 연체가 늘어나면 가계부채 부실화가 속도를 내면서 실물시장으로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주열 한은총재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과 관련 “예상했던 결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정상화 속도가 관심이었는데 점도표 변화도 없었다”며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