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판문점선언 이후-과학기술·산업 협력] 남북 과학기술 교류채널 힘 실렸다
뉴스종합| 2018-04-30 11:30
각각 협력센터 설치 본격화
50명 규모로 연구단지 전망
철도연결·백두산·광물연구 등
통일 대비 실질 협력창구될듯


남북한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단지가 남한과 북한에 각각 들어선다. 남한의 과학기술계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북한의 국가과학원 소속 11개 분원 간 과학기술 교류 채널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정부와 과학기술계는 남북과학교류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는 5월부터 25개 과기계 출연연 중심의 ‘남북과학기술협력센터’ 건설을 위한 본격적인 기획 연구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회는 약 1억원의 비용을 들여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회는 4ㆍ27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남에 따라 연구에 소요되는 기간도 앞당길 계획이다.

연구회는 올 하반기까지 남북과학기술협력센터의 5개년 추진 로드맵, 5개년 연차별 추진 로드맵, 협력센터역할과 기능, 남북과학기술협력센터 세부 운영방안, 협력센터 내 세부 운영 방안, 행정절차, 규정 등의 윤곽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0년을 전후로 완공될 센터는 연구회 소속 25개 과기계 출연연과 북측의 국가과학원 산하기관인 11개 분원의 과학기술 연구협력 채널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남한의 연구회와 북한의 과학원 간 협력기관 매칭 및 연계를 통한 연구주제 분석 작업도 수행한다.

과기계는 센터 건설로 남북한 철도연결, 백두산 화산 분출 연구, 천연물 개발 연구, 광물자원 연구 등 출연연 중심의 남북 과학 교류가 한층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대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국가과학원의 위상과 북한의 과학기술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과학원은 북측 과학교육부(한국의 과기정통부에 해당) 소속기관으로, 김정은 정권에서 핵개발 등 무기산업 전반에 걸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다.

김 위원장은 올해 첫 공식활동으로 국가과학원을 시찰,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센터는 남한과 북한, 비무장지대(DMZ)에 각각 한 곳에 설치하자는 의견도 나왔으나 최종적으로 남한과 북한에 하나씩 두는 쪽으로 정리됐다.

센터 규모는 최소 50명으로 각각 남한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북한의 국가과학원의 지휘를 받게 된다.

이번 센터 건설을 위한 연구가 2007년 처음 거론된지 10여년 만에 실행에 옮겨지는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는 것이 정부와 과기계의 설명이다.

추진 방식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통독 이전 동ㆍ서독은 정부 차원의 과학기술협력협정 이후 구체 협력사업이 추진됐다.

하지만 연구회는 계속되는 북한의 핵개발로 과학기술교류가 성과를 내지 못하자 기관 차원의 협력사업을 먼저 추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기로 했다. 정부도 이 같은 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회에 따르면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전후로 출연연의 남북과학기술 협력은 2015년 14건, 2016년 5건, 지난해 5건으로 크게 줄거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연구회 관계자는 “북한 제4차 핵실험 이후 출연연의 북한 과학기술 연구 사례가 감소하거나, 통합 연구회 출범 이후 출연연 중심의 남북 과학기술 협력 통합방안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라며 “센터는 통일에 대비한 실질적인 남북과학기술 협력 창구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상현 기자/bons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