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정부 권고로 멈춰선 ESS …늑장 후속대책에 기업들 손실만 ‘눈덩이’
뉴스종합| 2019-03-12 08:26
- 작년부터 한달에 두번꼴 사고…최소 700곳 가동 중단 추산
- 전국 ESS 모두 멈추면 월 450억 손실…고스란히 기업 부담으로

지난해부터 이어진 ESS화재 사고로 이뤄진 정부의 가동중단 권고 이후 후속대책이 늦어지며 설치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일부 시설에 대한 가동중단을 요청했으나 후속 조치가 늦어지면서 설치 기업들이 고충이 커지고 있다. 상당수 ESS가 넉달 넘게 사실상 방치되면서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이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경북 경산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고는 총 20건에 달한다.

이에 정부는 지난 연말 다중이용 시설에 설치된 ESS에 대한 가동중단을 요청한 데 이어 지난 1월 22일에는 민간사업장에 대해서도 별도의 전용 건물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가동을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

정부는 이어 전용 건물이 있더라도 ‘민관 합동 사고원인 조사위원회’ 권고에 따라 최대 충전율을 70% 수준 이하로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여기에 배터리 생산업체인 LG화학도 자사의 특정 제품을 사용하는 업체에 가동중단을 요청하면서 전국의 사업장에 설치된 ESS 시설 수백개가 멈춰선 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ESS는 두산중공업, SK이노베이션 등 전기 사용량이 많은 기업들이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설치해 왔는데, 통상 기업이 설치 비용을 전액 부담하기 때문에 가동중단에 따른 손실도 고스란히 떠안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작년말 기준으로 국내 ESS 사업장은 총 1400여곳으로 규모는 약 4.5기가와트시(GWh)에 달한다. 이 가운데 최소 700여여곳의 가동이 공식ㆍ비공식적으로 중단된 상태라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업계는 1㎿h(메가와트시) 규모의 ESS가 한달동안 가동을 멈추면 평균 10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만일 4.5GWh 규모의 설비가 전면 중단되면 한 달에 45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상당수 기업은 대출을 통해 ESS를 설치한 터라 가동을 중단할 경우 이자 상환 부담은 물론 투자비도 회수할 수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이 때문에 일부 중소기업에선 정부의 가동중단 권고와 화재 위험에도 불구하고 손실 부담을 더는 감당할 수 없다며 ESS를 계속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작년 12월 강원도 삼척에서 발생한 ESS 화재는 배터리 생산업체의 요청을 무시하고 가동을 강행하던 중 발생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가동중단 공문을 전달한 지 한달 이상 지났는데 대책은 커녕 사고원인 규명도 늦어지고 있어 해당 업체들만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면서 ”ESS 사업은 환경 보호와 전기사용량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속히 종합대책을 마련해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한 데 이어 이달(3월) 말까지 조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력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저장하는 시스템.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확산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으로, 원하는 시간에 전력을 생산하기 힘든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어 전력설비의 과잉투자를 막을 수 있다.

igiza77@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