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22배 증폭된 전기 생산 가능…메타물질로 버려지는 에너지 모은다
뉴스종합| 2019-03-14 12:00
- 표준硏 연구팀,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 

표준연 김미소 박사가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을 실험하고 있다.[제공=한국표준과학연구원]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메타물질을 에너지 하베스팅에 적용해 기존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지속적인 전기 공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시티의 중점 과제인 ‘멈추지 않는 센서’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안전측정센터 김미소 박사 연구팀과 서울대 윤병동 교수 연구팀이 자연계에 없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신개념 메타물질을 이용,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메타물질이 에너지를 한 곳에 집속해주는 돋보기 역할을 담당해 기존보다 22배 이상 증폭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일상생활부터 산업현장까지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아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재사용하는 기술이다. 특히 소리, 진동, 초음파와 같이 어디서든 흔히 발생하는 기계적 에너지는 에너지 하베스팅의 좋은 공급원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다리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소음이나 노면의 진동까지도 전력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계적 에너지 하베스팅은 생산 전력량이 부족한 탓에 응용분야가 제한적이고 경제성 면에서 합격점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내는 소자나 회로 개발 위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기본적으로 이미 수확된 에너지를 잘 변환하는 기술에 집중해 충분한 전력량을 얻기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버려지는 에너지를 처음부터 많이 모은 다음 수확하는 방법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 에너지를 최적으로 집속할 수 있는 메타물질인 음향양자결정 구조를 개발해 하베스팅에 접목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메타물질은 여러 곳에서 입력으로 들어온 에너지를 한 곳으로 최대한 모아, 더 이상 나가지 못하게 묶어둘 수 있다. 메타물질로 입력에너지를 집속하여 압전소자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실행한 결과, 기존보다 22배가 넘는 고효율의 전기 생산에 성공했다.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은 스마트시티의 기반시설을 신경망처럼 연결해주는 사물인터넷(IoT) 센서의 전기 공급에 적격이다. 그동안 IoT 센서는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태양광 등 기상조건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기계적 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미소 박사는 “메타물질을 에너지 하베스팅에 접목해 센서와 같은 소자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밀리와트급 전력을 얻은 건 최초 사례”라며 “에너지 하베스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한 성과”라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