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동차 발생 폐열로 전기에너지 만든다
뉴스종합| 2020-09-02 14:26

결함 제어를 통한 공공 및 전위 발생 모식도와 실제 소재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재료연구소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재료연구소는 기능세라믹연구실 민유호 박사 연구팀이 LG화학과 공동연구를 통해 소재 내부의 결함을 인위적으로 제어해 열적, 전기적 특성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소재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이를 활용해 중고온 영역에서 우수한 열전 변환 특성을 지니는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열전(熱轉)’은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유해한 냉매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냉각용 부품으로 활용하거나, 산업공장 또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등 열관리 및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서 폭넓은 응용이 기대되는 차세대 에너지 변환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400~500℃ 중고온 영역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열전소재는 환경적 사용 제약을 지닌 납(Pb)이나 값비싼 게르마늄(Ge) 등을 포함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보였다. 연구팀은 친환경 원소만을 활용해 소재 내부의 결함 농도를 조절하고 열적 전기적 특성을 동시에 제어했다.

먼저 연구팀은 주석텔루라이드 소재를 중고온용 열전소재로 타깃팅하고, 여기에 안티몬텔루라이드를 추가해 소재 내부의 공공 농도 함량을 조절했다. 이 둘간의 비율을 조절하면 주석텔루라이드 소재 내부의 공공 농도와 전기전달 매개체의 농도 조절이 동시에 가능해진다.

연구팀은 공공의 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켜 고밀도의 1차원 결함인 전위를 생성하고, 이의 농도 제어를 통해 열전소재의 열전도도를 물리적 한계인 비정질 수준으로 낮췄다. 또한 전기전달 매개체의 농도를 최적화해 소재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켰다. 결과적으로 결함 제어를 통해 제조된 소재는 각각 주석텔루라이드 대비 열전성능지수가 약 152%, 안티몬(Sb)만을 도핑한 소재 대비 약 25%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함 제어를 통한 소재 설계 기술은 유사한 염화나트륨 결정구조를 가진 다른 열관리 및 신재생에너지용 소재 개발에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 측면에서도 친환경 냉각장치, 자동차 및 공장 폐열을 활용한 전력 생산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열에너지 하베스팅 및 정밀온도 제어 등 열전변환 신소재 시장은 센서네트워크, 군사, 헬스케어, 기타 산업용 등을 포함해 2022년 기준, 약 7억4600만 달러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민유호 박사는 “손쉬운 공정과 친환경 원소의 사용 등 고효율 열-전기에너지 변환소재 개발을 통해 상용화에 한걸음 가까워졌다”며 “해당 소재 설계 기술은 열전 분야 이외에도 열적 전기적 물성 조절이 필요한 유사 결정구조를 지닌 소재 개발에 손쉽게 활용될 수 있어 앞으로 활용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8월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