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국립산림과학원, 지난 10년간의 숲길 빅데이터로 분석
뉴스종합| 2021-07-19 11:24
자작나무 숲 전경

[헤럴드경제(대전)= 이권형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지난 2011년부터 10년간 추진된 숲길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주요 포털 사이트에 노출된 숲길 관련 언론 기사의 제목, 본문 총 27만 건을 분석했다고 19일 밝혔다.

분석 결과 숲길 관련 보도는 2011년~2019년까지 연평균 17.8% 증가했으나 2020년에는 전년도보다 24백건(5.5%)이 줄었다. 단어빈도 분석에서는 ‘조성’과 ‘걷다’가 1, 2위를 반복해 출현하는 등 숲길 조성사업을 중점으로 보도하고 있었으며, 각 연도에 발생한 지리산둘레길(2012년) 및 서울둘레길(2014년) 조성, 미세먼지(2019년), 코로나19(2020년) 등 특징적인 이슈가 반영된 단어가 출현했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19로 기존 언론에서 보도했던 프레임과 다른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힐링’ 2013년∼2019년까지 20위권 안팎이었으나 2020년에 코로나19와 관련되어 9위로 급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산림의 치유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언론에서 숲길을 국민에게 ‘힐링’의 의미로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감정단어 분석 결과에서는 긍정단어는 ‘자연스럽다’, ‘아름답다’, ‘좋다’가 포함된 ‘호감’ 비율이 59.9∼6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단어는 ‘어렵다’, ‘힘들다’가 숲길 코스 소개에 사용됨에 따라 ‘슬픔’과 ‘거부감’이 높게 나타났다.

2011∼2019년까지 세부 감정변화는 큰 차이 없이 유사했으나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우울하다’, ‘답답하다’ 등의 새로운 단어가 등장하며 세부감정 비율이 크게 달라졌다.

특히 같이 사용된 단어비율이 높은 단어끼리 묶어주어 그룹화된 단어를 분석할 수 있는 CONCOR 분석 결과 숲길특성과 조성사업은 모든 연도에 출현했다. 2011∼ 2019년까지는 유사한 유형으로 그룹화됐으나 2020년에는 조성과 사업으로 구분돼 나타났으며, 관광 그룹이 새롭게 출현하는 등 기존과는 확연하게 다른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숲길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조성사업 중심의 프레임으로 보도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작년을 기점으로 코로나19 등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장소로 확장되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산림, 임업, 산촌 분야를 다루는 학술지인 산림경제연구 28권 1호(2021년 6월호)에 게재됐다.

kwonhl@heraldcorp.com

kwonh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