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리더십·국민소통·여야협치·국가안보…용산대통령의 숙제 4
뉴스종합| 2022-03-21 11:22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의 국방부 청사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오는 5월 10일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용산 대통령 시대’의 개막을 앞두게 됐다. 윤 당선인은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 ‘일하는 대통령’으로서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결단했다. 청와대는 대한민국 정부 출범 후 74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공원으로 국민에게 전면 개방된다. ▶관련기사 3·4·5면

21일 차기 대통령 취임까지 채 50일도 남겨 놓지 않은 상황에서 윤 당선인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어떻게 순조롭게 매듭짓고 ‘일하는 대통령’과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으로서 첫발을 내딛느냐에 온 국민의 관심이 쏠려 있다. 용산 대통령실의 성공적인 안착이 새 정부 출범 초기 국정 동력 확보의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과제가 만만치 않다. 이전 비용 논란과 더불어민주당의 반대, 안보 공백 우려가 크다.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이 윤 당선인의 리더십과 여야 협치, 국민소통 등의 첫 시험대가 됐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결정하면서 쟁점을 정면돌파하는 특유의 결단력을 보여줬다. 다만 ‘광화문 시대’ 공약을 반쪽 이행했다는 비판과 ‘국방부도 구중궁궐’이라는 반대 여론을 설득하는 것이 숙제로 남았다. 여야 협치도 문제다. ‘172석 거대 야당’이 될 더불어민주당의 맹렬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청와대 시대’ 종식으로 대변되는 당선인의 행보가 새로운 정치를 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대국민 설득 과정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평가가 동시에 제기된다.

윤 당선인은 이전 비용을 496억원 정도로 제시했지만 민주당과 정부 일각에선 수천억원의 추가 비용이 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살림이 어려워진 국민을 설득하는 일이 중요해졌다.

여기에 국방 장·차관실을 포함한 국방부 주요 부서들이 사실상 합참 청사와 영내외 가용 건물로 분산 배치되는 만큼, 연쇄 이전에 따른 국가안보 공백 우려도 불식시켜야 한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조만간 한·미연합훈련으로 인한 북한의 추가 도발이 발생할 경우 대응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강문규 기자

mkkang@heraldcorp.com

랭킹뉴스